1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에 따르면 2023년도 광역버스 준공영제 노선 11개가 선정됐다. 대광위는 신설 노선 4개와 민영에서 준공영으로 전환한 노선 7개를 선정해 연내 운행을 개시하기로 했다./사진=뉴시스
1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에 따르면 2023년도 광역버스 준공영제 노선 11개가 선정됐다. 대광위는 신설 노선 4개와 민영에서 준공영으로 전환한 노선 7개를 선정해 연내 운행을 개시하기로 했다./사진=뉴시스

정부가 출·퇴근 시간 사람이 몰리거나 대중교통 이용이 불편한 지역의 11개 광역버스 노선을 준공영으로 전환한다. 이를 통해 경기 일부 지역과 서울을 연결하는 광역버스 이용을 보다 용이하게 만들 방침이다.

1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는 전문기관의 평가와 광역버스 노선위원회 심의를 거쳐 올해 광역버스 준공영제 대상 노선 11개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정한 광역버스 준공영제 대상 노선은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신청한 총 49개 노선 중 4개 신설 노선과 기존 운송사업자의 면허반납 등 민영제 사업이 준공영제로 전환(이하 전환 노선)되는 7개 전환 노선이다.

신설 노선은 연결성, 이동성, 잠재수요 등을 고려해 고양·안성·의정부·화성에서 서울을 운행하는 4개 노선으로 정해졌다. 전환 노선은 이용수요, 혼잡도, 연결성, 신뢰성, 경제성 등을 기반으로 ▲고양(M7731·M7119) ▲남양주(M2352) ▲오산(M5532) ▲용인(M4455) ▲파주(M7154) ▲평택(M5438)에서 서울을 운행하는 7개 노선을 선정했다.

위 11개 노선은 향후 운송사업자 모집공고와 평가·선정 등을 거쳐 연내 운행을 개시할 예정이다.


이성해 대광위 위원장은 "광역교통 사각지대와 혼잡도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준공영제 노선을 확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노선발굴을 통해 국민들께 안정적인 광역교통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