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8일 학술포럼에 참여한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이재명 대표의 리더십을 작심 비판하면서 "국가를 위해 제가 할 일이 무엇인가 하는 것은 항상 골똘하게 생각하고 있다"며 신당 창당 가능성을 암시했다. 이 전 대표가 연일 이 대표에 대한 비판을 이어가는 가운데 비명계(비이재명계) 중심의 신당 창당을 두고 민주당 안팎에서 여러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이 전 대표는 자신의 싱크탱크인 '연대와공생'이 개최한 '대한민국, 위기를 넘어 새로운 길로' 학술 포럼에 참석해 "제1야당 민주당은 오래 지켜온 가치와 품격을 잃었고, 안팎을 향한 적대와 증오의 폭력적 언동이 난무한다"며 "도덕적 감수성이 무뎌지고 당내 민주주의가 억압되는 것은 리더십과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이 대표의 리더십을 거세게 비판했다.
이날 이 전 대표는 신당 창당을 염두에 두고 있냐는 질문에 "여러 갈래의 모색이 있다. 그 모색의 문제의식에 공감하고 있다"며 "국가를 위해 제가 할 일이 무엇인가 하는 것은 항상 골똘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답했다. 신당론을 일축하지 않고 되레 가능성을 내비친 이 전 대표의 답변에 정치권의 관심이 증폭됐다. 지난달 26일엔 이낙연계 원외인사 모임 '민주주의 실천행동'이 신당 창당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이에 당 안팎에서는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김남국 의원(무소속·경기 안산단원을)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철저하게 반성문을 써야 할 분이 자기 책임은 모두 망각한 채로 당 지도부를 흔들고 있다"며 "당의 어른으로 당내 계파 갈등을 완화하고 당내 통합에 힘을 보태줘야 할 분이 도리어 계파 갈등을 재부각시키고 당내 분란을 더 키울 기폭제가 될만한 발언을 한다는 게 너무 충격적"이라고 비판했다.
김영진 당대표 정무조정실장은 SBS라디오에 출연해 지난 대선 패배에 대한 이 전 대표의 지적에 "가장 큰 책임은 이재명 대통령 후보에게 있고 이를 총괄했던 저 같은 사람과 당시 당대표 같은 분들이 다 같이 책임을 지는 형태가 맞는 것"이라면서도 "그것을 이낙연 전 대표가 제3자에게 얘기하는 것 자체는 적절하지 않다"며 반박했다.
한편 민주당 내 전체적인 분위기는 이 전 대표의 창당 가능성을 일축하는 분위기다. 친명계로 분류되는 진성준(더불어민주당·서울 강서을)은 CBS 라디오에 나와 "당이 더 많은 국민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당에 남아 노력할 분이지 당을 나가서 새로운 정당을 만든다는 생각은 하지 않으실 것"이라고 말했다.
한 이낙연계 인사는 뉴스1을 통해 "당이 암울한 상황이니 이 전 대표도 본인만의 고민을 하는 것이고 이제 직접적인 얘기를 시작하는 것"이라며 "당장 창당할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향후 상황에 따라서 어떻게 될지는 알 수 없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