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인도·태평양 조정관인 커트 캠벨 국무부 부장관 후보자가 7일(현지시간) 미 상원 외교위원회 인준 청문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은 미 상원 영상 캡처.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인도·태평양 조정관인 커트 캠벨 국무부 부장관 후보자가 7일(현지시간) 미 상원 외교위원회 인준 청문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은 미 상원 영상 캡처.

(워싱턴=뉴스1) 김현 특파원 = 커트 캠벨 미국 국무부 부장관 후보자는 7일(현지시간) 북한 문제와 관련, "현재 (국제) 환경에서 북한이 미국과의 외교에 더 이상 관심이 없다고 판단한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인도·태평양 조정관인 캠벨 후보자는 이날 상원에서 진행된 인준 청문회에서 이같이 밝힌 뒤 "그것은 우리가 (대북) 억제에 더 집중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캠벨 후보자의 이같은 언급은 브라이언 샤츠 민주당 상원의원(하와이)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었다.

샤츠 의원은 캠벨 후보자에게 "북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있느냐. 저는 'CVID(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는 환상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꽤 오랫동안 마법같은 생각에 관여해 왔다"고 질문했다.

캠벨 후보자는 "북한 문제는 수십년 동안 미국 외교관들을 당혹스럽게 해 왔다"며 "그러나 저는 우리가 매우 우려스러운 새로운 시대로 접어들고 있고, 그러한 시기에 지금까지 우리가 취해 온 조치는 주로 북한에 대한 역내 억제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한 조치는 "한국 및 일본, 다른 나라들과 함께 취해졌다"면서 "저는 그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캠벨 후보자는 "우리가 마지막으로 북한과 가졌던 건설적인 외교적 관여는 김정은(북한 노동당 총비서)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간 실패했던 베트남 (하노이) 회담"이라며 "그 이후로 북한은 우리가 접촉하기 위해 사용했던 모든 노력을 거부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미국)는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접근법을 시도했다"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사태 당시 백신 제공 의사 표명 △인도주의를 토대로 한 관여 등을 예로 제시했다.

그는 그러나 "우리는 심지어 서한을 보내거나 북한에 대한 접근을 다루는 데 있어서도 응대하는 사람을 만나는 것에도 어려움을 겪었다"면서 "저는 이것이 동맹 및 파트너들과 더 깊은 협의가 필요한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캠벨 후보자는 특히 "저는 북한이 군사장비를 제공하는 등 러시아와 관련해 매우 위험한 조치를 취한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면서 "저는 북한이 역내뿐만 아니라 미국에 반(反)하는 방식으로 장거리 미사일과 핵 능력을 계속 완성하고 있는 것도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자신이 샤츠 의원의 우려에 공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