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예프 알수다이리 주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대사(오른쪽)가 26일(현지시간) 요르단강 서안지구 중심도시 라말라를 방문해 리야드 알말리키 팔레스타인 외무장관을 만나 발언하고 있다. ⓒ 로이터=뉴스1 ⓒ News1 강민경 기자
나예프 알수다이리 주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대사(오른쪽)가 26일(현지시간) 요르단강 서안지구 중심도시 라말라를 방문해 리야드 알말리키 팔레스타인 외무장관을 만나 발언하고 있다. ⓒ 로이터=뉴스1 ⓒ News1 강민경 기자

(서울=뉴스1) 강민경 기자 = 이스라엘과의 국교 정상화를 논의 중인 사우디아라비아가 30년 만에 요르단강 서안지구에 외교 사절을 파견했다.

AFP통신에 따르면 나예프 알수다이리 주요르단 사우디 대사가 이끄는 대표단이 26일(현지시간) 요르단에서 육로를 통해 서안지구 중심 도시인 라얄라를 찾았다.


사우디가 요르단강 서안지구에 사절을 파견한 건 1993년 오슬로 협정 이후 처음이다.

알수다이리 대사는 지난달부터 비상주 팔레스타인 대사와 이스라엘 예루살렘 총영사를 겸임하고 있다. 그는 이날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을 예방해 신임장을 받았다.

그는 라말라에서 리야드 알 말리키 팔레스타인 외무장관을 만나 신임장을 제시한 뒤 "팔레스타인 문제는 근본적인 축"이라며 "사우디는 동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는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을 위해 일하고 있다"고 말했다.


알수다이리 대사는 "2002년 사우디가 제시한 아랍 이니셔티브가 앞으로 있을 협상의 초석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랍 이니셔티브란 이스라엘이 요르단강 서안과 동예루살렘, 가자지구, 골란고원에서 철수해야만 이스라엘을 국가로 인정하고 국교를 맺을 수 있다는 내용의 제안이다.

이후 그는 기자들로부터 '예루살렘에 사우디 대사관이 건립되느냐'는 질문을 받고 "그러기를 바란다"고 답했다.

이번 사우디 대표단의 팔레스타인 방문은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가 주도하는 사우디와 이스라엘의 국교 정상화 논의가 진행되는 가운데 이뤄졌다.

사우디는 이스라엘과의 수교 조건으로 팔레스타인의 독립 국가 수립과 함께 사우디에 대한 안전 보장과 산업용 원자력 프로그램 지원 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는 지난주 미국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이스라엘과의 합의점에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면서도 "팔레스타인 문제는 여전히 매우 중요하다"고 발언했다.

한편 이날 이스라엘은 사우디에 장관급 인사를 처음으로 파견해 국제사회의 이목을 끌었다. 하임 카츠 이스라엘 관광부 장관이 유엔 세계관광기구(UNWTO) 행사 참석차 리야드에 방문한 것이다.

카츠 장관은 이날 성명을 내고 "나는 관광과 이스라엘의 대외 관계를 증진하기 위한 협력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