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현
방사능 폐기물 임시저장소 포화 문제와 관련 한빛원전(사진) 등이 잘못된 정보로 국민들에 불안감을 조성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7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이정현 국회의원(전남 순천·곡성)은 한국수력원자력 국정감사에서 한빛 원전 중저준위 방사능 폐기물 임시저장소 포화 문제와 그에 따른 폐기물 이관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을 촉구했다.

한빛 원전 중저준위 방사능 폐기물 임시저장소가 거의 포화 상태로 올해 해상으로 1000드럼을 경주 방폐장으로 이관해야 한다는 것이 한빛원전의 설명이다.

언론 등에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한빛 원전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임시처분장 포화정도는 2014년 12월말 96.5%, 2015년 7월말 9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정현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는 한빛원전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임시처분장 포화정도가 총 2만6412드럼 중 2만2951드럼이 저장돼 86.9%로 예상포화연도는 2017년으로 보고 있다.

이에 이정현 의원은 "한수원과 원자력환경공단은 언론을 통해 현재 98%까지 차있고 연말까지 안되면 원전가동중지 사태까지 발생할 수 있다는 말로 국민들에게 불안감을 조성하고 있는 것으로 이는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더불어 2015년 방사능 폐기물 경주 방폐장 이관을 준비하는 과정에도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포화정도가 가장 심한 한빛 원전이 이관하지 못한 이유는 해상운송을 해야 하는데, 어민들과의 보상 협의가 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정현 의원은 방사능 폐기물 임시저장소 포화 문제에 따른 업무처리 방식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이 의원은 "방사능 폐기물 임시저장소의 포화는 계속 문제가 되었던 부분으로 이를 처리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어민들과의 협의도 끝내지 못해 원전 가동 중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며 한수원과 원자력환경공단에 일침을 가했다.

또한 해상운송에 있어서의 안전성의 문제도 수면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정현 의원은 "서해의 경우 수심이 낮아 사고의 위험성이 있다는 주장들도 있다.
특히 영광 앞바다는 수심이 얕고 퇴적이 심한데다 조수간만의 차가 커서 접안이 어렵고, 배가 좌초될 위험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어민협의부터 항로확보까지 철저히 준비해서 한빛 원전에서 발생하는 방사능 폐기물이 경주 방폐장으로 안전하게 이관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고 조치할 것"을 촉구했다.

이와 관련해 한빛원전 관계자는 "이정현 의원이 말한 86.9%의 방사능 폐기물 저장공간은 설계상 수치를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지게차 통행 공간과 작업 공간 등 부대공간 3109드럼이다. 이를 제외한 여유 공간이 352드럼 밖에 남지 않아 통상적으로 언론에 발표한 수치가 98%이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