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대상 국가의 여건을 고려한 맞춤형 스마트시티 모델 개발을 위해 협의체 구성과 연구개발(R&D) 지원이 확대된다.

국토교통부는 7일 열린 대통령 주재 제10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한국형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국토부는 수출 대상 국가별 맞춤형 수출을 위해 한국형 스마트시티를 다양한 모델로 개발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현재 페루 동부 아마존 습지지역에 적용될 에너지 신산업 모델과 칠레 물 관리를 도와줄 친환경 물 산업 모델, 콜롬비아 메데진시에 도입 추진 중인 스마트 교통 모델 등을 현지상황에 맞게 개발 중이다.

국토부는 스마트시티 수주 지원을 위해 ▲기획재정부 ▲외교부 ▲수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 ▲인프라 공기업 등이 참여하는 해외 도시·SOC 개발 협의체를 추진한다.


특히 정부 간 협력과 함께 세계은행 등 국제기구와의 공조도 추진한다. 해외 스마트 시티 사업의 정책펀드로 코리아해외인프라펀드(KOIF)와 해외건설특화펀드(GIF)도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스마트시티 수출을 위해 법제처와 협의해 체계정비가 시급한 아시아국가 등에 ‘토지관리·도시계획법’ 제정도 지원할 계획이다.

국내 스마트시티 활성화를 위해 특화형 실증단지도 조성한다. 국토부는 ▲세종시 ▲동탄2신도시 ▲판교 ▲평택고덕 등에 민관협업으로 한국 대표 스마트 기술을 보여줄 수 있는 특화형 실증단지 조성을 이달 착수한다.

국토부는 수출가능성과 민간시장으로의 확장가능성 등을 감안해 대표적인 관심 서비스를 스마트시티 페키지 등 4가지 분야로 특화할 계획이다.

스마트시티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R&D 지원도 확대된다.

국토부는 스타트업·벤처기업 등의 창업수요가 높은 동탄2 테크노벨리에 인큐베이팅존을 조성해 ▲창업 ▲유통·판매 ▲판로개척 등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중소벤처들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사업화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동반성장 할 수 있는 비즈니스 플랫폼도 조성할 방침이다.

태양광·전기차 등 지역 전략산업 기업이 입주·투자하는 지역은 규제 프리존과 연계해 입지·산업규제 완화와 예산 우선 지원 등의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패키지형 스마트 시티 해외진출 모형. /자료=국토부
패키지형 스마트 시티 해외진출 모형. /자료=국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