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지역 중소기업들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지도는 높은 반면 대응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부,지자체,학계 등이 선도적으로 나서 4차 산업혁명으로의 원활한 이행을 위해 초기 대응 수준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16일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에 따르면 오병기 광주전남연구원 책임연구위원, 김영수 산업연구원 지역발전센터 소장, 정문기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경제조사팀 조사역이 지난해 10~11월까지 광주·전남 소재 중소기업 199개를 대상으로 '광주·전남지역의 4차 산업혁명 대응 실태 및 역량 평가' 결과, 4차 산업혁명을 '잘 알고 있다(5.5%)'는 응답과 '어느 정도 알고 있다(45.7%)'는 응답이 51.2%에 달해 전국 조사 응답 비중 43.3%를 상회했다.
이는 광주·전남 지자체와 경제단체 등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세미나를 다수 개최하는 등 많은 관심을 보임에 따라 지역 내 기업들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4차산업혁명 대응 수준에 대한 질문에 대해 '준비하고 있다(18.1%)'는 읍답과 '철저히 준비하고 있다(1.0%)'는 응답이 19.1%로 전국 조사 응답비중인 28.9%를 하회했다.
전문가들은 지역의 산업구조가 전통적인 대형 장치산업 및 이와 연계된 부품산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태세가 미흡하고 관련 전문 인력도 적은데 주로 기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또 광주·전남기업들은 글로벌 기업의 대응 수준을 10점으로 놓고 비교했을 때 자신들의 대응 수준은 평균 3.9점에 불과하다고 평가했다.
대응이 미흡한 이유로는 전문 인력 부족에 따른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해도 부족(21.1%), ▲과도한 규제 및 법적 인프라의 유연성 부족(19.6%), ▲시대에 뒤떨어진 교육시스템(16.1%) 등을 꼽았다.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을 대상으로 대응 방법을 물어본 결과, ▲신사업·신비즈니스 모델 개발(26.7%), ▲전문 인력확보(26.7%) 등의 순으로 이어졌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광주는 ▲노동시장 효율성(16개 시도 중 3위), ▲고등교육 및 직업훈련(5위),▲적극성(8위)부문의 대응 지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인프라(13위)와 혁신(12위)부문은 낮았다.
전남은 ▲인프라(1위)와 혁신(3위)부문의 대응 지수가 높았으나,▲기술수용적극성(15위)와 노동시자효율성(12위),▲고등교육 및 직업훈련(12위)부문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두 지역의 강점과 약점의 상호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문기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조사역은 “광주의 인적자본과 교육여건, 전남의 인프라와 혁신 잠재력을 융합할 때 두 지역 간 시너지 효과가 발휘되면서 4차 산업혁명의 대응수준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이어 “광주·전남지역 기업들은 4차 산업혁명의 대응 수준은 다소 미흡하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객관적인 역량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는 만큼, 정부·지자체·학계 등이 선도적으로 이끌어 4차 산업혁명으로의 원활한 이행을 위해 초기 대응수준을 높이는 것이 긴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