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지난해 KEB하나은행이 사회적경제기업에 자금을 가장 많이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원회는 10일 올해 첫번째 사회적금융협의회를 개최하며 지난해 은행권 사회적금융 공급실적을 공개했다.

KEB하나은행은 총 903억원의 자금을 지원해 시중은행들 중 1위를 기록했다. 이어 기업은행(898억원), 신한(577억원), 농협(364억원), 국민(164억원), 우리(151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광주은행(141억원)은 지방은행으로는 유일하게 100억원 이상의 공급실적을 기록했다.


지원 유형별로는 대출이 3355억원(98.0%)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나머지는 제품구매와 기부·후원, 출자 등으로 집계됐다. 

기업 유형별로는 사회적기업이 2987억원(87.2%)으로 가장 많았고 협동조합(278억원·8.1%), 마을기업(138억원·4.0%), 자활기업(21억원·0.6%) 등 순이다.

지난해 은행권 전체의 자금공급 규모는 총 2986건, 3424억원으로 전년(2527억원) 대비 35.5%(897억원) 증가했다.


공공부문의 지원도 순항하고 있다. 올해 1분기 392개 회사에 총 902억원을 공급해 연간 목표치 대비 27.9%를 채웠다. 대출(서민금융진흥원·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신협 등)과 투자(한국성장금융·한국벤처투자) 부문의 공급액은 목표 대비 미달했지만 보증(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 등)에서 목표를 크게 초과했다. 

금융위는 기술보증기금의 소셜벤처 대상 보증 공급 확대와 신협의 대출 목표 상향 등을 반영해 올해 공공부문의 지원 목표를 당초 2430억원에서 3230억원으로 800억원가량 확대했다. 상반기에는 신협을 통해 사회적 경제기금을 추가 조성하고, 2019년도 사회투자펀드 조성(성장금융) 등을 통해 자금을 차질없이 공급하기로 했다.

아울러 사회적경제기업 자금지원 시 객관성,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통일된 ‘사회적경제기업 평가시스템’도 구축된다.

신용보증기금과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연구용역을 통해 평가시스템에 활용할 평가지표와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 규모·업종·지원자금 규모 등 유형별로 세분화한 웹 기반 온라인 평가모형을 구축할 계획이다.

손병두 금융위 사무처장은 “공공부문의 유기적 협력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올해부터 중기부와 기술보증기금도 본 협의회에 참여하게 됐다”며 “은행 및 상호금융권도 사회적금융 대출상품 개발, 금융투자업계의 임팩트 투자 등을 적극 장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