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단 검사를 할 때 코·목에 있는 타액보다 분변이 더 유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사진=이성철 뉴스1 기자 |
24일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에 따르면 한미선 소아청소년과 교수 연구팀이 소아청소년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코속(비인두), 타액보다 분변에서 오랜 기간 많은 양으로 검출이 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고 보라매병원에 입원한 18세 미만(생후 27일~16세로 평균나이 6.5세) 환자 12명(9명 경증, 3명 무증상)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12명의 검사 결과, 92%는 분변에서 코로나19 양성 반응이 나타났고, 타액에서는 73%로 양성 반응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코속과 타액, 분변에서의 바이러스 검출량을 시기별로 측정하여 비교분석했다. 분변에서는 경증과 무증상의 환자 모두에서 초기 바이러스 양이 가장 많았다. 2~3주 후에도 꾸준히 높은 수준을 보였지만 코속과 타액 검사에서의 바이러스 양은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했다.
분변에서 채취한 검체 검사결과 초기 바이러스 양은 7.68 log10 copies/mL이었고, 장기간 많은 양을 유지했다. 샘플에서의 양성반응 비율은 전 기간에 80%를 넘었다.
반면, 코 속에서 채취한 검체에서 확인한 초기 바이러스 양은 초기에 7.56 log10 copies/mL으로 정점을 기록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수치가 감소했다. 샘플에서의 양성반응 비율은 2주차 75%, 3주차 55%로 감소했다.
2주차와 3주차 두 시기 모두 분변에서 검출된 바이러스 양은 코 속에서 검출된 바이러스 양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타액에서의 바이러스는 코 속 검사 결과보다 바이러스 소멸 속도가 빨랐는데, 타액에서 채취한 샘플 확인 결과 1주차에는 80%가 양성 반응을 보였지만, 2주차 33%, 3주차 11%를 기록하며 급격히 감소했다.
다만 연구팀은 분변 속 바이러스를 배양하지 않아 분변에서 검출된 바이러스가 전염력을 갖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고 덧붙였다.
연구를 이끈 한미선 교수는 “현재 코로나19 진단 시에는 코 속을 면봉으로 긁어 검체를 채취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데, 소아청소년의 분변에서는 보다 오랜 기간 많은 양의 바이러스가 검출되므로 소아청소년에서 현재 혹은 최근 감염을 진단할 때에는 분변이 또 하나의 신뢰도 높은 진단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전했다.
해당 논문은 ‘Viral RNA Load in Mildly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Children with COVID-19, Seoul’의 이름으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신종감염병 저널인 EID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