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전세형 공공임대주택 11만4000가구 공급대책에 대해 입을 열었다./사진=임한별 기자 |
김 장관은 22일 서울 은평구 대조동 매입임대주택 현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서울 평균 매입단가가 6억원이지만 실제 최대 7억~8억원도 될 수 있다"며 "매입단가가 올라가면 집의 품질도 획기적으로 바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파트를 원하는 수요자의 관심을 공공주택으로 전환하기 위해선 품질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아파트에 비해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의무심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면서 이같이 언급한 것.
정부는 지난 19일 전세대책을 통해 '공공전세'라는 새로운 유형을 도입하면서 매입 단가를 종전 3억원에서 6억원으로 2배 올렸다. 평균 금액임을 감안하면 단가는 8억원도 가능하다는 게 김 장관의 설명.
김 장관은 "아파트 수요를 대체할 수 있는 품질을 제공하려고 한다"며 "(단가가 올라가면)크기도 넓어지지만 품질 자체도 개선된다. 매입약정은 특히 공공이 공적인 필요에 따라 설계에서부터 이를 반영해 짓는다"고 주장했다.
이날 김 장관이 방문한 은평구 매입임대주택은 이번 대책에 포함된 물량은 아니지만 매입 단가가 4억5000만원, 보증금 1억원에 월임대료 30만원이다. 역세권에 방 3개 구조와 학교가 인접해 다자녀 가구 특화로 공급된다. 경쟁률은 3대1.
앞으로 정부가 공급하는 매입임대주택은 이같은 수요자 특성을 설계 때부터 적극 반영하겠다는 것. 김 장관은 "아이돌봄 서비스나 피트니스를 짓고, CCTV 등을 설치해 보안문제도 해결할 계획"이라며 "작년에 매입임대 약정 방식으로 전국에서 522건이 접수돼 실제 약정이 101건이었다. 조건이 더 좋아지면 평균 30% 약정이 더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공급량이 늘어나는 것은 아니지 않느냐는 지적에 김 장관은 "매입임대 방식의 약정매입 방식은 처음부터 물량이 실규로 늘어나는 것으로 지금은 없는 제도"라며 "완전히 새롭게 시작되기 때문에 절대 물량이 늘어난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