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스코인터내셔널과 바이오앱, 캐나다 플랜트폼이 비대면 화상 회의에서 3자 간 MOU를 체결하고 있다. /사진=포스코인터내셔널 |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국내 바이오벤처인 바이오앱, 캐나다 플랜트폼(PlantForm)과 돼지열병(CSF) 백신 수출·위탁생산 및 공동연구개발을 위한 3자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체결식은 비대면 화상회의를 통해 진행됐으며 ▲허성형 포스코인터내셔널 친환경소재사업실장 ▲손은주 바이오앱 대표이사 ▲스튜어트(Dr. Don Stewart) 플랜트폼 대표이사가 참석했다.
바이오앱은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는 플랫폼인 '중소벤처기업 마케팅 협업포털'의 1호 협력 기업으로 사람과 동물의 질병백신을 개발·생산한다. 동물세포 기반 백신을 개발하는 기존 업체들과 달리 식물세포 기반 '그린 백신' 기술을 활용하는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린 백신은 병원체를 퍼뜨릴 염려도 없고 새로운 돌연변이 바이러스를 만들어낼 가능성도 낮은 안전한 백신을 말한다.
캐나다 플랜트폼은 'vivoXPRESS®' 플랫폼을 사용해 특수 항체 및 단백질 생산에 주력하고 있는 바이오 제약회사다.
이번 3자 간 업무협약을 통해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바이오앱에서 생산하는 CSF 백신의 해외 수출을 진행하고 위탁생산과 공동연구개발 협의를 발전시킬 방침이다. 바이오앱은 제품의 조기 상용화를 위한 연구·개발과 임상실험을 진행하며 플랜트폼은 바이오앱의 CSF 백신의 캐나다·북미·남미에서의 현지 승인과 유통을 맡게 된다. 이르면 내년부터 백신 수출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손은주 바이오앱 대표는 "식물백신·그린백신은 병원체를 퍼뜨리거나 돌연변이 바이러스를 만들어내지 않는 안전한 백신"이라며 "포스코인터내셔널, 플랜트폼과의 협력으로 재난형 동물 전염병을 퇴치해 인류 행복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