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고위험군 4차 접종자의 중증·사망 예방효과가 3차 접종자보다 50% 이상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16일 면역 저하자, 요양병원·시설 고위험군 약 151만명의 3차· 4차 접종 효과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4차 접종자의 감염 예방효과는 3차 접종자보다 20.3% 높게 나타났다. 중증화 및 사망 예방효과는 각각 50.6%, 53.3% 높았다.
4차 접종 효과는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감소했다. 접종 후 15~30일 이내에는 감염 예방효과가 3차 접종자보다 24.6% 높았지만 31~45일 내에는 8.9%, 46일 이후에는 6.2%로 떨어졌다. 같은 기간 중증화·사망 예방효과도 각각 55%와 55.2%로 상승했다가 31~45일 사이 39.9%와 44%, 46일 이후 40.7%와 42.9%로 하락했다.
방대본은 "이번 조사는 4차접종으로 감염, 중증, 사망에 대해 추가 예방효과가 확인됐다는 데 의미가 있다"면서 "스웨덴, 이스라엘 등 외국의 조사 결과와 비교했을 때 일부 효과 차이는 분석 대상의 차이에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효과가 확인된 만큼 4차 접종에 적극 참여해 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스웨덴에서 실시한 장기요양시설 입소자 대상 연구 결과, 4차 접종 후 87일간 사망 예방효과가 31%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스라엘의 경우 60대 이상 18만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차 접종 14~30일 후 감염예방효과가 52%로 높았고 중증 예방효과는 64%, 사망 예방효과는 76%였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추진단)에 따르면 16일 0시 기준 전체 인구 대비 4차 접종률은 8.4%, 60세 이상 고령층의 4차 접종률은 30.2%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는 1주간 370건이 추가로 접수됐다. 전체 예방접종 1조2521만7316건 중 누적 이상반응 신고 건수는 47만1438건(0.38%)이다. 발열, 근육통 등 일반적인 이상반응이 45만2850건(96.1%), 아나필락시스 등 중대 이상반응이 1만8588건(3.9%)이다.
"코로나19 예방수칙, '의무'이자 '배려'입니다"
#올바른 마스크 착용 #건강한 거리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