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역당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독감이 동시 유행하는 트윈데믹 대응을 본격화한다. 오는 21일부터 고위험군 대상 독감 예방접종을 시작하고 독감 치료제 건강보험 적용을 지난해보다 한 달 앞당긴다.
질병관리청(질병청)은 지난 15일 이같은 내용의 '2022~2023절기 독감 대응 계획'을 발표했다. 무료 접종 지원 대상은 생후 6개월∼만 13세 어린이와 임신부, 만 65세 이상 고령자 등 총 1216만명(어린이 439만명·임신부 14만명·고령자 763만명)이다.
접종 기간은 오는 21일부터 내년 4월30일까지로 전국 2만여개 위탁의료기관과 보건소에서 실시한다.
접종 가능 시기는 연령대별로 다르다. 생후 6개월 이상, 만 9세 미만 어린이 중 생애 처음으로 독감 접종을 하는 어린이는 21일부터 접종이 가능하다. 생애 첫 접종의 경우 1차 접종 후 4주 후에 2차 접종을 해야 하기 때문에 가장 먼저 접종을 받게 된다. 그 외 접종 대상자인 어린이와 임신부는 다음달 5일부터 접종이 가능하다.
고령자의 경우 만 75세 이상은 다음달 12일부터, 만 70∼74세는 다음달 17일부터, 만 65∼69세는 다음달 20일부터 접종할 수 있다. 접종 기간은 12월31일까지다.
이번 접종에는 세계보건기구(WHO) 권장주로 생산한 4가 독감 백신이 활용된다. 4가 백신은 4가지 바이러스를 동시에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을 말한다.
백경란 질병청장은 "지난 2년 동안 독감 유행이 없어 인구집단 내 자연면역이 낮아졌다"며 "접종 대상자의 경우 해당되는 접종 시기 내에 가능한 한 빨리 접종을 받아 달라"고 당부했다.
신속한 독감 치료제 처방을 위해 고위험군의 경우 지난해보다 1개월 빠른 10월부터 건강보험이 적용된다. 고위험군은 만 9세 이하 소아, 임신 또는 출산 2주 이내 산모, 만 65세 이상, 면역저하자 등이다.
질병청은 독감 예방접종에 맞춰 발열·호흡기 환자 진료 현장과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요양시설 등 감염취약시설에 관련 가이드라인을 안내할 예정이다.
백 청장은 "의료기관은 발열·호흡기 환자를 진료할 때 코로나19 감염력과 접종력을 반드시 확인하고 검사와 치료를 진행할 것을 권고한다"며 "환자도 발열·호흡기 증상이 있다면 의료기관을 방문할 때 코로나19 감염력과 접종력을 의료진에게 알려 자신의 상황에 맞는 진단과 치료가 이뤄지도록 협조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