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23일 오전 10시 서울 더 플라자 호텔에서 '인공지능(AI)과 데이터 프라이버시: 새로운 도전과 대응'이라는 주제로 국제 콘퍼런스를 연다. 사진은 생성형 AI '챗GPT' 이미지. /사진=로이터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23일 오전 10시 서울 더 플라자 호텔에서 '인공지능(AI)과 데이터 프라이버시: 새로운 도전과 대응'이라는 주제로 국제 콘퍼런스를 연다. 사진은 생성형 AI '챗GPT' 이미지. /사진=로이터

최근 인공지능(AI)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는 가운데 AI 규제 문제를 두고 전 세계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댄다.

'인공지능(AI)과 데이터 프라이버시: 새로운 도전과 대응'이라는 주제의 국제 콘퍼런스가 23일 오전 10시 서울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다. 주최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다.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AI 부작용을 우려하며 AI 서비스·기술 규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영국, 독일, 일본 등의 개인정보 감독기관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기구를 비롯해 글로벌 빅테크 기업, 해외 싱크탱크 관계자들은 국가 간 일관된 AI 규제체계 확립, 규율 방향 등을 논의한다.

이번 콘퍼런스는 고학수 개인정보위원장 환영사와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장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오전에는 AI와 프라이버시 관련 전문가 강연과 산업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토론이 있을 예정이다. 오후에는 유럽, 아시아의 개인정보 감독기구 기관장 및 OECD 등 국제기구 고위급 대표가 참여하는 회의로 진행된다.

고학수 개인정보위원장은 "유럽, 미국, 아시아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AI 기술 기반 서비스 확대에 따른 범국가적인 디지털 대전환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긴밀한 협력 방향을 모색하는 매우 새롭고 뜻깊은 자리다"라며 "데이터 보호를 위한 다자간 논의를 지속하고 국제적 협력을 진전시키기 위한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장은 "AI 정착을 위해서는 AI를 믿고 안심할 수 있는 제도적·기술적·문화적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며 "이 자리는 AI 이용 확산을 위한 이슈를 확인하고 국제적 공조와 협력으로 나아가기 위한 논의의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