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생상품과 관련한 신문기사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 중 하나가 '스프레드'이다. 또 '스프레드 거래'라는 표현도 투자 관련 매체에 종종 등장한다. 이번에는 스프레드 거래에 대한 명확한 개념과 구조를 짚어 보도록 하자.
| ||
스프레드 거래는 선물시장에서 중요한 투자 형태의 하나이다. 스프레드 거래는 서로 다른 선물계약을 한 투자자가 매수하고 다른 투자자는 매도함으로써 두 선물계약간의 가격변동의 차이에 따른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거래다.
스프레드의 종류에는 크게 상품 내 스프레드, 상품간 스프레드, 시장간 스프레드가 있다. 통상적으로 거래소시장에서 스프레드 거래란 동일한 기초자산을 대상으로 결제월이 다른 두개의 선물가격의 차이를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스프레드 거래는 특정 결제월의 포지션을 다른 결제월로 이월(Roll-over)시키거나 결제월물간 가격차를 이용한 차익거래 등에 이용된다.
주식선물시장에서는 기초자산별로 3종목의 스프레드가 상장되어 있다. 주식선물 스프레드 거래는 기존 주식선물의 종목별 시장과는 별개의 시장으로 볼 수 있다. 원월물의 유동성이 부족하더라도 주식선물의 스프레드 거래가 가능해 다른 결제월로 원활하게 이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주식선물 스프레드 거래의 가격은 원월물에서 근월물의 가격을 뺀 수치를 말한다. 스프레드 매도는 원월물매도와 근월물 매수, 스프레드 매수는 원월물 매수와 근월물 매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자 9월물 매도 포지션과 ××전자 12월물의 매도포지션으로 구성된 스프레드 포지션을 원하는 투자자는 9월물과 12월물을 각각 따로 거래하는 것이 아니라 9월물과 12월물의 가격 차이를 호가하여 거래하는 방식이다. 즉 9월물과 12월물로 구성된 선물스프레드 1계약을 매도하였다면 12월물 1계약을 매도하고 9월물 1계약을 매수한 것과 동일한 것이다.
스프레드 거래는 개별적인 선물가격보다 상대적으로 가격변동이 낮은 편이다. 그러므로 단순투기보다 위험이 적어서 증거금 역시 낮게 부과하고 있다.
주식선물스프레드 거래에 관한 제도는 다음과 같다. 우선 호가는 지정가만 가능하다. 호가의 입력 또한 제한되는데 단일가 호가 접수시간에는 호가를 입력할 수가 없다.
호가의 단위는 각 결제월물의 기준가격 가운데 낮은 가격의 호가 단위를 사용한다. 거래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5분까지이며 최종거래일은 오후 2시50분까지만 거래가 가능하다. 한편 가격 제한폭은 따로 제시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