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텔레콤(대표이사 사장 하성민, www.sktelecom.com)은 지난 8월 경매를 통해 할당 받은 1.8GHz 광대역 주파수를 활용해 오는 30일부터 마포구에서 광대역 LTE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SKT는 10월 초 강남역, 대학로, 명동, 홍대, 신촌, 서울역, 시청광장, 여의도, 잠실 롯데월드, 가산 디지털단지, 강남~양재 사무실 밀집지역 등 서울 주요 11개 지역 등으로 광대역 LTE 서비스 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어 10월 말까지 서울 전역에 광대역 LTE 구축을 완료하고 11월말까지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전역으로 빠르게 확대한 뒤 내년 3월 6대 광역시, 7월 전국망 수준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SKT는 자사가 멀티캐리어와 LTE-A에 사용하고 있는 1.8GHz 기지국이 이미 구축돼 있어 서비스 지역을 서울 전역으로 신속히 확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회사는 이미 구축된 기지국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 광대역LTE 서비스를 제공한다.
SKT 광대역 LTE 상용화로 멀티캐리어가 적용된 베가레이서2, 아이폰5, 갤럭시 노트2 등 LTE폰(총 20종)을 사용하는 SKT 가입자는 최대 100Mbps속도의 LTE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갤럭시 노트3 등LTE-A 스마트폰 이용자의 경우에는 기존과 동일하게 최대 150Mbps의 속도로 LTE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갤럭시 노트1, 옵티머스뷰, 베가S5 등 기존 850MHz 대역 LTE 전용 폰 이용자들의 경우 멀티캐리어 단말과 LTE-A 단말은 광대역으로 용량이 늘어난 1.8GHz 대역을 주로 사용하게 돼 보다 빨라진 속도를 경험할 수 있다고 SKT 측은 설명했다.
국내 도입 시점이 아직 정해지지 않은 아이폰5S·5C 등 LTE-A 미지원 폰 구매자도 최대 100Mbps의 속도의 광대역 LTE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SKT는 전국의 모든 시 단위에 상용화한 LTE-A 서비스의 커버리지를 보다 촘촘히 구축한다는 계획에 따라 기존 LTE-A 기지국을 연말까지 66% 추가 구축하기로 했다.
이번 LTE-A 기지국 확대는 ‘LTE-A’와 ‘광대역 LTE’ 양 날개를 모두 강화하는 SK텔레콤의 통합 네트워크 전략에 따른 것이다.
SKT 관계자는 "서울·수도권은 광대역 LTE를 우선 제공하고, 그 외 지역은 LTE-A를 강화함으로써 가장 많은 지역에서 최대 150Mbps 통신 서비스를 보다 더 많은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조치다"며 "내년 하반기 도입될 최고속도 225Mbps의 차세대LTE-A 서비스에서도 앞서 나가기 위한 포석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SKT는 전국의 모든 시 단위에 상용화한 LTE-A 서비스의 커버리지를 보다 촘촘히 구축한다는 계획에 따라 기존 LTE-A 기지국을 연말까지 66% 추가 구축하기로 했다.
이번 LTE-A 기지국 확대는 ‘LTE-A’와 ‘광대역 LTE’ 양 날개를 모두 강화하는 SK텔레콤의 통합 네트워크 전략에 따른 것이다.
SKT 관계자는 "서울·수도권은 광대역 LTE를 우선 제공하고, 그 외 지역은 LTE-A를 강화함으로써 가장 많은 지역에서 최대 150Mbps 통신 서비스를 보다 더 많은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조치다"며 "내년 하반기 도입될 최고속도 225Mbps의 차세대LTE-A 서비스에서도 앞서 나가기 위한 포석이기도 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