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뉴스1 |
원전 자료를 빼낸 해커들이 25일부터 원전 가동 중단을 요구한 가운데 현재(오전 9시40분 기준)까지 이상징후는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전국 4곳의 원전본부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밤샘 비상근무를 하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5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수원에 따르면 원전 자료를 유출한 자칭 '원전반대그룹'이 원전 가동 중단을 요구한 시한이 지났지만 우려했던 사이버 공격이나 징후는 없는 상태다.
부산 기장군 장안읍에 있는 고리원자력본부는 전날부터 비상 상황반을 편성해 비상근무 중이다. 직원들은 원전 가동상황을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주변 검문검색을 강화하는 등 초긴장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아직 이상 징후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24일 밤에는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해커들이 가동중지를 경고한 고리원전 1호기를 둘러보고 밤을 새워 사이버 테러에 대비한 상황을 점검했다.
전남 영광에 위치한 한빛원전에서도 별다른 문제점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24시간 비상근무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해커 공격에 대비해 제어 시스템을 외부와 분리하고 접근 가능한 한 모든 경로를 통제했다. 혹시나 심어뒀을 바이러스가 실행되는 것에 대비해 사내 전산망에 입력된 날짜도 26일로 모두 변경했다.
경주시 월성원전도 사이버 테러 전문 보안기관 등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상주하면서 보안 상황을 확인했지만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월성원전 주변에서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관할 군부대인 해병대가 외곽 순찰을 강화하고 있다.
한편 자칭 '원전반대그룹'의 회장은 크리스마스부터 3개월간 고리 1·3호기와 월성 2호기의 가동을 중단하지 않으면 자신이 보유한 10여만 장의 자료를 모두 공개하고 '2차 파괴'를 실행하겠다고 협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