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제징용피해자 및 유족들이 지난 4월21일 서울 서초동 중앙지법 앞에서 일본 전범기업 상대 1004명의 원고단 손해배상 청구소송 기자회견을 마친 후 소장접수를 위해 민원실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젲공=서울 뉴스1 유승관 기자
일제강제징용피해자 및 유족들이 지난 4월21일 서울 서초동 중앙지법 앞에서 일본 전범기업 상대 1004명의 원고단 손해배상 청구소송 기자회견을 마친 후 소장접수를 위해 민원실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젲공=서울 뉴스1 유승관 기자
조선인 강제 징용의 한이 서린 일본 산업시설들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최종 등재 여부는 내달에 결정된다. 우리 정부는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저지하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교도통신과 NHK 등 일본 언론은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가 일본 산업혁명 유산 23곳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하도록 유네스코에 권고했다고 보도했다.

일본이 산업혁명의 유산이라며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를 추진하는 23곳 가운데 7곳은 조선인 5만7000여명이 강제 징용된 시설이다.


교도통신은 지금껏 일본정부가 추천한 문화유산 중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가 권고했다가 최종 단계에서 뒤집힌 사례가 없다고 전했다.

최종 등록 여부는 내달 말 독일에서 열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결정된다. 일본과 인도, 독일 등 세계유산위원회 21개 위원국 가운데 3분의 2 이상이 찬성하면 등재된다.

이에 우리 정부는 조선인 강제징용 현장이 세계유산에 등록되는 것은 인류 보편적 가치를 지닌 유산을 보호한다는 세유산협약의 기본정신에 위배된다는 점을 들어 총력 반대 외교전을 펼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