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온열질환' '폭염주의보'
온열질환, 심하면 사망까지?

올해 무더위로 인한 첫 온열질환 사망자가 발생했다. 

오늘(30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 5월24월부터 이달 28일까지 총 352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했다. 이 중에는 사망자 1명도 포함됐다. 사망자는 충남에 거주하는 34세 남성으로 지난 28일 오후 건설 현장에서 작업을 하다 열사병이 발병해 119 구급차를 통해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끝내 숨졌다.

늘 낮 최고기온은 대 37.0도, 포항 37.0도, 영천 36.9도, 안동 34.4도, 울릉도 33.5도 등으로 올들어 가장 높았다. 당분간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주의보·폭염경보가 발표된 오늘과 같이 무더운 날씨를 보이겠다.

러한 무더위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온열질환에는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 등이 있다. 이중 열사병의 경우 고열과 함께 땀 분비가 줄어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는 위험한 질환이다. 열사병은 몸이 흡수한 열을 배출하지 못해 열 발산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아 체온이 상승하면서 신체에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뜻한다. 

열사병은 치사율이 50%에 이르는 위험한 병으로 특히 어린이, 노약자나 만성 질환자들에게 위협적이다. 고체온증, 무력감, 어지러움, 메슥거림, 구토, 두통, 근육 떨림 등의 다양한 전조 증상을 동반한다. 초기에 적절한 대응을 취하지 않을 경우 고체온에 취약한 중추신경계에 장애가 발생해 헛소리를 하거나 환각 등의 초기 의식 장애를 보이기도 한다. 특히 4세 이하 어린이의 경우 자율신경 기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사병의 예방을 위해서는 자외선이 강한 오전 10시에서 오후 3시 사이에는 야외 활동을 삼가고, 고온에 장시간 노출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다. 또, 평소 전해질 보충을 위해 생선이나 야채로 구성된 식단을 준비하고 물을 자주 마셔 수분 섭취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