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카카오는 최근 한국투자금융지주, 기타 IT업체들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신청에 나섰다. 설립인가를 받게 되면 다음카카오는 23년 만에 탄생한 '은행시장 신규 진입자'라는 역사의 주인공이 된다.
![]() |
김범수 다음카카오 의장. /사진제공=포니정재단 |
인터넷은행 사업은 김 의장의 또 다른 도전 중 하나. 새로운 도전을 통해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김 의장의 평소 지론에 따른 것이라는 평이다. 그 배경에는 대박을 터뜨린 ‘카카오톡’이 자리 잡고 있다. 4000만 유저를 확보한 카카오톡 수요를 업고 카카오택시와 페이 등이 벤처계의 이상적인 모델이 됐기 때문.
평소에도 김 의장은 좋은 아이디어와 인프라를 보유한 벤처가 필요하다는 판단이 들면 과감없이 투자하기로 유명하다. 실제 김 의장이 다음카카오에 깃발을 꽂은 후 다음카카오의 행보는 눈에 띌 만큼 공격적으로 변했다. 올해에만 다음카카오와 투자전문 자회사인 케이벤처그룹이 인수한 벤처기업이 8곳에 이른다. 투자를 집행한 곳만 해도 16개에 달한다.
김 의장은 불어난 몸집만큼 그에 걸맞은 내실다지기에 주력하고 있다. 급변하는 모바일 시장에 대응하는 김 의장의 '신의 한수'가 어떤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지 주목된다.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396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