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일자리 창출에는 몸을 사리는 듯한 모습이다. 청년고용 확대를 위해 정부가 추진 중인 임금피크제 도입에도 보험사들은 소극적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국내 39개 보험사들은 4조4740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전년 동기보다 1조380억원(30.2%) 증가한 규모다. 생명보험사의 순이익은 2조7990억원으로 1년 전보다 8032억원(40.2%), 손해보험사는 1조6750억원으로 2348억원(16.3%) 늘었다. 지난 6월 말 기준 보험회사 총자산도 903조3000억원으로 1년 새 93조2000억원(11.5%) 불어났다.
![]() |
보험설계사 모집 공고문. /사진제공=삼성생명 홈페이지 |
보험사의 내년 성적도 기대되는 상황이다. 지난 7월 금융당국은 보험료 결정권에 대한 족쇄를 풀어주기로 결정했다. 보험료 산정에 대한 재량권을 보험사에 모두 넘기기로 한 것. 이에 보험사들은 보험료 인상을 고려 중이다. 하반기부터 생·손보사 모두 보험료를 줄줄이 인상할 계획이다.
그러나 고용 창출을 위한 움직임은 보이지 않는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분기 금융 및 보험업 종사자는 78만9000명으로 전체 취업자(2609만8000명) 중 3%에 불과했다. 이는 2004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또 지난 7월 기준 금융 및 보험업 고용률은 전년보다 7.4%(6만2000명 감소) 줄었다. 제조업, 농림어업 등 각종 산업 중 가장 낮은 고용률이다.
보험사들은 현실적으로 채용 확대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저성장·저금리로 경영환경이 갈수록 악화돼 지난해 많은 보험사가 구조조정을 단행한 상황에서 채용을 늘리기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 |
/사진=뉴스1허경 기자 |
하지만 수익이 늘어나 정부의 일자리 확대정책에 화답할 여력이 생긴 보험사들이 적극적인 채용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기업 전반적으로 고용증가율이 낮아지는 가운데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금융사의 고용이 저조한 것은 우려할 만하다”며 “실적이 개선된 보험사의 경우 채용에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보험업계는 올 초부터 정부가 청년채용 확대를 위해 꾸준히 독려해온 임금피크제 도입에도 소극적이다. 임금피크제는 일정 연령이 된 근로자의 임금을 삭감하는 대신 정년까지 고용을 보장하는 제도다. 39개 보험사 중 임금피크제 도입을 확정지은 곳은 삼성생명, NH농협생명, 삼성화재, 동부화재, 롯데손해보험, NH농협손보 등 6곳에 불과하다.
일각에서는 임금피크제 도입이 고용 확대로 이어지기는 힘들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한국노동연구원 관계자는 “정년을 지키기 어려운 금융권 특성상 임금피크제 도입 자체로 고용 확대에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399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