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그룹 사옥. /사진=머니투데이 DB
현대그룹 사옥. /사진=머니투데이 DB

적자가 지속되며 인수합병에 매각설까지 돌고 있는 현대상선이 일단 숨통을 틔웠다. 보유중인 계열사 지분을 팔고 단기 차입금을 늘려 약 4500억원의 유동성을 확보하면서다.
공시에 따르면 현대상선은 보유중인 현대엘엔알 지분 전량(44만1000주)과 현대아산 지분 일부(808만7751주)를 현대엘리베이터에 매각해 254억원, 358억원의 유동성을 확보했다.

또 지주사인 현대엘리베이터로부터 1392억원을 대여하고 현대증권 지분을 담보로 스마트업 제1차 유한회사 등으로부터 2500억원을 빌려 총 4503억원의 유동성을 확보했다.

이로써 일단 올해 닥칠 유동성 위기는 넘겼다는 분석이다. 우선 산업은행 대출금 1986억원을 변제해 현대증권 매각에 대한 결정권을 가져왔다. 현대상선이 현대증권 매각이 성사된 뒤 갚는 조건으로 산은에 빌린 대출금이다.


공시계획이 차질없이 진행된다면 내년 4월 만기 도래하는 회사차 2320억도 갚을 수 있다. 급한불은 끈 셈이다. 하지만 내년까지 1조원이 넘는 비용을 상환해야 하는 상황이라 추가적인 자금 확보는 불가피하다.

현대상선은 이번 현금확보 외에 영구채 발행으로 유동성 추가확보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벌크전용선부문을 분리한 자회사 현대벌크라인에서 영구전환 사채를 발행해 유동성 위기를 막겠다는 것. 업계에서는 이에 성공할 경우 최대 3000억원선의 유동성을 확보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이번 방안은 우선 급한 불을 끈 격으로 근본적인 해결책과는 거리가 멀다. 산은 측은 차입금 만기연장과 관련해 이번 조치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산은 관계자는 “유동성 해소를 위한 이번 방안은 자구안과는 관계가 없다”며 “차입금 만기 연장 등의 논의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담은 자구안이 나와야 검토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