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카 바이러스' '브라질 소두증 확산'

신생아에 소두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지카(Zika) 바이러스'가 갈수록 확산되면서 두려움 또한 팽배해지고 있다.

미국령 푸에르토리코는 지난 26일(현지시간) 지카 바이러스 확진 사례가 약 19건 발생했다고 밝혔으며 이날 이탈리아에서바이러스 감염 사가 4건 접수되는 등 유럽에서도 중남미 여행객들 가운데 감염 환자가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도 임신부 등에게 발생 지역 행 자제를 당부하며 경계 태세를 강화하고 있다.

지카 바이러스는 뎅기열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와 동일한 '플라바이러스' 계열의 바이러스로, 1947년 우다의 원숭이에서 처음 발견된 발견된 숲 이름을 따 명명됐다. 이집트숲모기를 비롯해 주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숲모기에 물리면 사람에게도 감염된다.


1952년 우간다에서 처음으로 사람 감염이 확인된 후 아프리카와 남태평양 열대지방을 중심으로 소수 발병이 확인되다 지난해 브라질에서처음 발병한 이후 중남미 지역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사람 간 전파는 일반적이지 않지만 타히티의 한 남성 정액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된 적이 있고, 성관계를 통한 감염 가능성을 시사하는 보고서도 있기 때문에 사람 간 감염 가능성도 안심하긴 이르다.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되거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에 물리면 수일간의 잠복기를 거쳐 발열, 발진, 근육통, 두통, 눈 충혈 등의 경미한 증상이 2~7일간 나타난다. 감염 환자의 80%는 증상을 알아채지도 못하고 지나가는 경우가 있다.

문제는 임신부가 감염되면 태아에게 바이러스가 전이돼 태아의 두뇌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는 기형인 소두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일명 '소두증 바이러스'로도 불린다.

한편, 지카 바이러스 소두증 원인은 현재까지 지카 바이러스 발병은 중남미 국가들에 집중돼 있다. 브라질에서 가장 많은 감염 사례가 나온 것을 비롯해 멕시코, 베네수엘라, 엘살바도르, 파라과이 등 중남미 20여개국에서 최근 환자가 나왔다. 중남미 외에는 태평양 섬 사모아와 아프리카의 카보베르데, 아시아의 태국에서도 감염이 확인됐다. 또한 미국 10여건을 비롯해 이탈리아 4건, 스페인 2건, 영국 3건 등이 보고됐다.


지카 바이러스를 옮긴다고 알려진 이집트 숲 모기. /사진=뉴스1(AFP 제공)
지카 바이러스를 옮긴다고 알려진 이집트 숲 모기. /사진=뉴스1(AFP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