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16일 북한의 핵 도발이 거듭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며 강경하고 단호한 대북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사회·시민단체들은 엇갈린 평가를 내놓았다.
한국자유총연맹은 박 대통령의 국회 연설에 '환영'의 뜻을 밝히고 "북핵 폐기, 특단의 조치가 시급하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자유총연맹은 "박 대통령의 확고한 입장을 적극 환영하며 개성공단 가동 중단뿐 아니라 북한의 진정한 변화를 위한 모든 강력하고 실효적인 조치를 통일준비 차원에서 추진할 것을 정부에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개성공단 진출 기업들의 피해와 손실을 최소화하는 데 만전을 기할 것을 요구한다"면서 "북한 핵미사일의 첫 번째 피해자이자 당사자는 대한민국이라는 박 대통령의 인식에 전적으로 동감의 뜻을 표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의 연설을 '독단적 결정'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참여연대는 '국민에게 자신의 독단적 결정 무조건 따르라는 대통령'이란 제목의 논평을 통해 "근거 없는 개성공단 자금의 핵미사일 개발 유입 주장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박 대통령을 비판했다.
참여연대는 "남북 관계 단절과 한층 고조되는 군사적 대립에 불안해하는 국민에게 자신의 독단적 결정을 따르라고 하고 있다"며 "대통령이 근거 없는 주장을 다시 유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대통령은 한반도 위기의 반복이라는 정책 실패에 대한 일말의 성찰도 없이 실패로 확인된 대북제재를 선택했다"면서 "마치 상생의 남북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한 것처럼 주장했지만 이 역시 사실과 다르다"고 덧붙였다.
![]() |
박근혜 대통령이 16일 오전 국회에서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국정과 관련한 연설을 하기 위해 본회의장으로 향하고 있다. /사진=뉴스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