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마철 이어폰.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
장마철 이어폰을 장시간 꽂고 다닐 경우 외이도염에 걸릴 위험성이 높다. 오늘(4일) 중앙대병원에 따르면 최근 장마철의 습한 날씨 속에서 스마트폰의 잦은 사용으로 장시간 이어폰을 꽂고 있거나 샤워 후 머리와 귀를 제대로 건조하지 않은 채 이어폰을 착용해 외이도염에 걸리는 환자가 크게 늘고 있다.
외이도염은 귀의 입구에서 고막에 이르는 '외이도'가 곰팡이 세균에 감염돼 통증·가려움증·청력장애 등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여름철 고온다습한 기후에 잦은 물놀이나 귀에 외상 또는 이물질로 인한 염증으로 발병한다. 특히 고무패킹이 달린 커널형(밀폐형) 이어폰을 꽂을 경우 고무마개가 귀 깊숙이 파고들어 완전히 틀어막기 때문에 귓속이 더욱 밀폐돼 사용 후 충분히 소독하지 않으면 세균성·진균성 염증을 유발하기 쉽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매년 약 150만명 이상의 환자가 외이도염을 앓고 있다. 특히 여름철인 7~8월에 외이도염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집중된다. 문석균 중앙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장마철 등 습한 환경에 장시간 이어폰을 착용하면 귀에 땀이 차고 습도가 높아져 곰팡이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되어 오히려 물놀이 때보다 외이도염에 걸릴 위험이 높다"고 경고했다.
외이도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물놀이 후 귓속 청결과 건조를 유지해야 하며 장마철에는 장시간에 걸친 이어폰 사용을 자제하고 이어폰을 사용할 경우 고무마개를 자주 갈아주거나 소독해 외이도염 감염 위험을 낮추어야 한다. 또 머리를 감은 후에는 바로 이어폰을 착용하지 말고 선풍기나 드라이기의 찬바람으로 귀를 말려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다만 면봉이나 귀이개 등은 쓰지 않는 것이 좋다.
외이도염에 걸렸을 경우에는 증상에 따라 항생제나 점이액을 사용해 통증을 조절함으로써 치료가 가능하다.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중이염으로 악화되고 청력장애가 생기거나 심한 경우 수면장애 또는 지적장애의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어 빨리 병원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