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사박물관, 광복절 맞아 '격동의 서울 1945-1948' 사진전 개최
서울역사박물관이 8월 광복절 및 정부수립일을 맞아 <격동의 서울 1945-1948> 전을 9월 4일까지 박물관 1층 로비에서 개최한다.
1945년 8월 15일 해방부터 1948년 8월 15일 정부수립까지 3년은 격동의 시기로 서울은 주요 사건의 한가운데 위치했다.

전시는 국내 사진작가 임인식(林寅植)과 미군정 당시 서울에서 근무했던 미군 병사 프레드 다익스(Fred W.Dykes)가 기록한 사진들을 통해 당시 격변의 현장 서울의 모습과 서울 사람들의 삶을 함축하여 보여준다.


사진작가 임인식(1920-1998)은 해방후 일본인 철수 모습부터 좌우대립, 중앙청에서 열린 정부수립 기념식에 이르기까지 서울에서 있었던 중요한 사건들과 시민들의 모습을 사진 속에 담았다.

프레드 다익스의 사진은 1947년 미군정 당시 남아 있던 일제 잔재인 황국신민서사탑 및 시청과 중앙청, 덕수궁 등 서울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준다.
서울역사박물관, 광복절 맞아 '격동의 서울 1945-1948' 사진전 개최
프레드 다익스(1928년생)는 18세인 1946년 군에 입대하여 4개월여를 미국 본토에서 근무한 후 미 7사단 31보병연대 소속으로 1946년 12월부터 1948년 5월까지 17개월간 서울에서 근무했다.
이번 전시에는 프레드 다익스가 촬영한 사진 중 당시 서울에 남아 있던 일제 잔재인 ‘황국신민서사탑(皇國臣民誓詞塔)’과 ‘조선신사 도리이(鳥居)’는 물론 시청과 중앙청, 덕수궁 일대의 서울 모습이 담겨져 있다. 황국신민서사탑은 남산공원 아동광장에 위치하였으며, 사진 촬영 직후인 1947년 철거되었다가 2009년 발굴조사로 그 흔적이 확인되었다.

도리이란 신사(神社)의 입구 등에 설치되는 전통적인 일본의 문을 말한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이번 전시를 통해 8월 광복절과 정부수립일을 맞아 서울시민들에게 격동의 시기였던 8.15 해방과 정부수립 기간 동안의 서울과 시민들의 모습을 다시금 기억하고 회상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고 말했다.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관람 시간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8시, 토․일․공휴일은 오전 9시부터 오후 7시까지이다. 공휴일을 제외한 매주 월요일은 휴관이다. 자세한 정보는 서울역사박물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제공=서울역사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