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GS건설 |
대우건설과 건국대학교 산학연구팀은 '주택상품 수요추정 빅데이터'를 공동연구, 23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2010~2015년 서울과 수도권 푸르지오 아파트단지 29개의 2만6329세대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1999~2004년 푸르지오 146개 단지와 비교해 10년 동안의 주거트렌드 변화를 도출했다.
분석 결과 첫 주택계약 연령대를 보면 2004년 조사에서는 면적이 넓을수록 연령대가 높아진 반면 지난해 조사에서는 전용면적 40~50㎡ 소형상품의 경우 50대 이상 계약자의 비중이 증가했다. 전용면적 40~50㎡는 50대 계약자 비중이 36.36%로 가장 높고 이어 60대 이상 30.3%, 40대 25.76%, 30대 7.58% 순으로 나타났다.
아파트의 전체 사용면적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사용면적은 전용면적을 포함한 공용면적과 지하주차장, 서비스면적 등을 말한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설계기술이 발달하면서 발코니, 공용로비, 커뮤니티시설 등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전용면적 59㎡를 예로 들면 사용면적은 2004년 124.7㎡에서 지난해 152.1㎡로 27.4㎡ 증가했다. 전용면적 84㎡의 경우 사용면적이 같은 기간 168.8㎡에서 202.3㎡로 33.5㎡ 증가했다. 같은 면적의 아파트를 구매해도 12년 전보다 약 8~10평 더 넓은 집을 사용하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