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으로 촬영한 천호대교 교각 ./사진=서울시
드론으로 촬영한 천호대교 교각 ./사진=서울시
서울시는 초고화질 카메라가 장착된 최첨단 드론을 활용해 한강 교량 안전점검에 나선다고 23일 밝혔다.
현재 한강 교량은 안전점검 전문기관 용역을 통한 정밀점검(1~3년 주기)시에는 물 위에 바지선을 띄우고 크레인을 이용해 점검을 하는 등 교량의 모든 부분을 점검한다. 하지만 공무원 정기점검(1년 2회 이상)시에는 대형 장비 없이 육안에 의한 점검 위주로 이뤄지고 있어 교량 상판 측면, 교각 및 주탑 같은 취약지역에 대한 점검은 수시로 이뤄지기 어려운 실정이다.

드론에 탑재된 카메라는 풀HD보다 화질이 뛰어나고 4K·UHD 지상파 방송급 촬영이 가능한 초고화질 카메라로 2000만 화소급 화질로 수상 교각의 콘크리트 균열 부분도 잡아낼 수 있는 수준이다.


드론으로 비행하면서 동영상 촬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확인하고자 하는 지점에서는 정지비행으로 스틸사진 촬영도 가능하다.

서울시는 지난해 안전 분야에 대한 드론 활용 조사 용역을 통해 교량점검에 우선 적용하기로 하고 올해 3월 천호대교와 성수대교에 시범적으로 점검한 결과 누수‧백태, 콘크리트 파손·균열, 페인트 벗겨짐 같은 세밀한 하자를 발견하는 성과를 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다음달 중 한국시설안전공단과 공동으로 드론을 활용해 행주대교 주탑 부분을 추가로 점검하고 점검결과를 토대로 종합계획 수립 후 내년부터는 서울 한강교량 전체(총 20개)에 전면 활용을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