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곡지구 한 오피스텔의 단지 내 상가. /사진=김창성 기자 |
12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 2분기에는 전국에서 90개의 상가가 공급되며 지난 2010년 2분기(117개 상가) 이후 가장 많은 상가가 분양됐다.
마곡·미사·동탄 등 새 아파트 입주가 활발한 수도권 택지지구 위주로 상가 분양이 시작되며 전체 물량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체 물량(90개 상가) 중 76%가 수도권 공급에 집중되며 수도권에서만 68개 상가가 분양됐다.
유형별로는 ▲근린상가 38개 ▲단지 내 상가 32개 ▲복합형상가 16개 ▲대형복합상가 3개 ▲테마상가 1개 순으로 공급됐다.
근린상가는 마곡·배곧·미사 등 수도권 주요 택지지구에서만 31개가 공급됐다. 아파트 내에 위치한 단지 내 상가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단지 내 상가 공급 증가 영향으로 예년 대비 비교적 많은 물량이 공급됐다.
점포수 증가도 두드러졌다. 상가 공급 증가와 동시에 점포 100개 이상의 대규모상가(15개 공급)가 늘어나는 등 전년 동기 대비 64% 가량 증가한 5723개 점포가 공급됐다.
2분기 공급된 상가의 평균 분양가는 2601만원/3.3㎡(1층 기준)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대비 24% 가량 높은 가격이다. 수도권 공급 비중이 높고 지방에서 공급된 근린상가 및 대형복합상가의 분양가도 소폭 오르면서 평균 분양가 수준이 상향 조정된 것으로 분석된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2724만원 ▲지방 2227만원이다. 유형별로는 ▲대형복합상가 3139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근린상가 3081만원 ▲복합형상가 2675만원 ▲테마상가 2100만원 ▲단지 내 상가 1963만원 순이다.
LH 단지 내 상가는 25개 단지(업무지원시설 2개 단지 제외, 최초입찰 기준)에서 총 163개 점포가 공급됐다. 이 중 158개 점포가 주인을 찾은 반면 행복주택을 배후로 둔 일부 점포(5개 점포)들은 유찰됐다.
권역별로는 미사·동탄 등 수도권에서 19개 단지 134개 점포가 입찰에 나섰고 지방은 6개 단지 29개 점포가 공급됐다.
평균 낙찰가율은 181%로 예년수준과 비슷했지만 평균 낙찰가격은 2855만원/3.3㎡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가량 높았다.
하남미사·동탄 등에서 내정가격 대비 2배 이상 높게 낙찰된 가운데 하남미사A20블록이 3.3㎡당 평균 6575만원에 낙찰이 이뤄지며 낙찰가 상승에 영향을 끼쳤다.
공공분양 963가구를 배후로 둔 하남미사A20블록은 미사지구 내 상가 인기가 높은 가운데 단지 규모 대비 지원시설 비중이 적어 낙찰경쟁이 두드러졌던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