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외여행, 북적이는 공항./사진=뉴시스 |
15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외국에 다녀오면서 감염병에 걸린 환자는 541명으로 전년 대비 10% 증가했다. 주요 국외유입 감염병은 뎅기열(58%), 말라리아(13%), A형간염(5%), 세균성이질(4%), 지카바이러스 감염증(3%) 순이다.
감염병은 위생 관리만으로도 발병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지만 가장 확실한 예방법은 백신 접종이다. 면역력이 떨어진 고위험군에 속하거나 발병 위험이 큰 지역에 오랜 기간 머무를 계획이라면 백신 접종을 고려할 만하다.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는 감염병은 황열, A형 간염, 콜레라, 장티푸스, 수막구균성 수막염, 폴리오(소아마비), 파상풍, 일본뇌염 등이다. 말라리아는 백신 대신 예방약을 먹으면 된다.
여행 국가마다 감염 위험이 큰 질환이 다르므로 질병관리본부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 홈페이지 등에서 현지에서 걸릴 수 있는 감염병과 백신 관련 사항을 확인하는 게 좋다.
예컨대 일부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 등에서는 황열 예방접종에 대한 증명서를 요구하거나 말라리아 예방약 복용을 권하기도 하므로 사전에 챙겨야 한다.
귀국 후 조치도 중요하다.
귀국 후 수일 또는 수개월 안에 고열, 설사, 구토 등의 감염병으로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가까운 병원을 즉시 찾아 최근 여행한 국가를 알리고 진료를 받아야 한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여행 국가마다 감염 위험이 큰 질환이 다르므로 질병관리본부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 홈페이지 등에서 감염병과 백신 관련 사항을 확인해야 할 것"이라며 "백신을 맞을 계획이라면 최소 출국 2주 전까지는 접종을 완료하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