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인보 분당차병원 신경외과 교수. /사진=차병원 |
이번 연구는 줄기세포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 ‘Stem Cell Research and Therapy’ 온라인판에도 게재됐다.
한인보 교수팀은 만성 퇴행성 추간판성 요통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자신의 복부에서 지방을 채취해 지방줄기세포를 분리, 3주 동안 배양 후 히알루론산과 함께 추간판 내에 1회 투여해 12개월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10명의 환자 중 6명의 환자에게서 시각적 통증 등급이 평균 6점에서 3점으로, 오스웨스트리 장애 지수가 평균 43%에서 17%로 감소했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이식한 지방유래중간엽줄기세포가 항염증 효과뿐 아니라 변성된 수핵세포를 이전 단계로 복구시키는 기능까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줄기세포 투여로 인한 중대한 이상 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한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퇴행성 추간판에 의한 만성 요통 환자에서 줄기세포 치료의 안전성과 항염증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은 만큼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을 위해 지속적으로 임상연구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만성 요통은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가 가장 흔한 원인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통증이 심해지고 비가역적인 변화를 보인다. 퇴행성 변화로 인한 만성요통은 약물·물리 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우선적으로 시행하지만 지속적인 치료에도 효과가 없으면 척추 수술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수술 이후에도 요통이 지속되거나 재발하는 경우가 많아 근본적인 치료 방법은 아니다.
전세계적으로 줄기세포 이식 등 근본적 치료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줄기세포를 단독으로 이식하는 1세대 줄기세포 치료제는 염증반응이 일어나고 수핵세포가 퇴화되는 등의 문제로 뚜렷한 퇴행성 추간판 줄기세포 치료제가 없는 상황이다.
차병원그룹의 바이오신약 개발 전문기업인 차바이오텍은 한 교수를 상업임상의 시험책임자로 지정,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기업 주도의 줄기세포 임상시험을 진행해 빠른 시간 내에 퇴행성 추간판용 줄기세포 치료제를 개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