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대한상공회의소 |
박 회장은 이날 제주 신라호텔에서 개최한 ‘제44회 대한상의 제주포럼’에서 개회사를 통해 “기업들이 소재의 국산화 등 미래 대응을 위한 연구개발(R&D)과 공장 설립 등을 추진하려면 복잡한 인허가나 예상치 못한 장애에 부딪히는 경우가 적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회장은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해 “기업들의 상황이 어렵기는 하지만 이번 사태가 대일 거래의 과거와 현재는 물론 미래까지 기업별로 검토하고 대책을 세우는 계기가 되면 좋겠다”며 “모두가 범국가적인 사안으로 생각하고 여와 야, 정부와 국회, 나아가 민과 관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차분하고 치밀하게 대처해 나가면 좋겠다”고 전했다.
규제완화도 거듭 촉구했다. 박 회장은 “아직도 많은 기업들에는 새롭게 일을 시작하고 벌이는 자체가 큰 성취인 것이 현실”이라며 “젊은 기업인들이 규제 애로를 호소하는 모습을 보면서 기성세대가 잘못해서 놓인 덫들이 그들의 발목을 옭아매는 것 같아 안타깝고 한편으론 미안한 마음”이라고 밝혔다.
이어 공유주방 규제를 없애준 식약처의 사례를 언급하며 “건별로 진행되는 관문식 규제 심의를 넘기 위해 젊은이들이 낭비하는 에너지가 너무 크다”며 “누구나 마음껏 일을 벌일 수 있도록 지금과는 차원이 다른 새로운 접근법을 찾아 주시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선진국형 규범 정착도 언급했다. 그는 “그간의 입법 관행을 보면 부작용들을 상정하고 이들을 원천 예방하는 쪽으로 흘러 온 경향이 있었다”며 “법의 테두리는 넓어진 반면, 자율 규범이 들어설 자리는 줄고 각종 규제들이 사라지면 토털 케이오스가 올 것 같은 공포가 사회 저변에 깔려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또한 “기업들이 솔선해서 페어플레이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당국에서도 기업들이 ‘절대 넘지 말아야 할 선’만 법에 담는 선순환이 필요하다”며 “이제는 10년 후를 내다보며 선진국형 규범을 정착시키기 위한 공론화가 시작되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한편 1974년 ‘제1회 최고경영자대학’으로 시작된 ‘제주포럼’은 올해로 44회째를 맞이했다. 이번 포럼에는 박 회장을 비롯해 전국상의 회장단과 기업인이 대거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