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본 지역 여행경보 현황. /사진=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캡처 |
조 차관은 이 같은 가능성에 대해 "국민의 안전을 고려해 결정할 것"이라면서 "방사능 오염이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고 한일 관계 악화로 극우세력을 중심으로 한 혐한시위 등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조 차관의 이날 발언은 지난 5일 최재성 더불어민주당 일본경제침략대응특별위원장의 '일본 여행금지 구역을 도쿄까지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에 이은 것으로 주목된다.
당시 최 위원장은 일본의 한국 화이트리스트 배제 직후 가진 한 인터뷰에서 "도쿄에서 얼마 전에 방사능 물질이 기준치보다 4배가량 초과돼서 검출됐다"며 "(여행금지구역에) 도쿄를 포함해서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현재 외교부는 일본 지역 여행경보를 후쿠시마에 한정하고 있다.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 때 사고가 발생했던 후쿠시마 원전 반경 30㎞ 이내 지역과 일본 정부가 지정한 피난지시구역에 대해서만 철수권고를 뜻하는 '적색경보'를 내린 상태로, 경제보복 조치 전과 같다.
반면 일본은 반일 시위 등을 이유로 지난달 19일부터 '한국여행 주의보'를 네 차례나 발령했다. 일본 외무성은 지난 4일 홈페이지에 한국에서 반일 시위가 빈발하고 있다면서 일본 국민에게 한국여행 주의를 당부했다.
이에 비해 우리 외교부는 '일본여행 주의보' 발령에 매우 신중한 모습이다. 일본 내 반한 감정이 일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을 여행하는 ‘국민 안전’에 대한 대책은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 전과 다를 바 없다.
외교부는 일본의 첫 경제보복 조치가 내려진 지난달 이후 해외안전여행 사이트에 일본여행에 대한 총 5건의 '국가별 최신안전소식'을 올렸을 뿐이다. 그것도 ‘일본 군마현 이사마산 분화 관련 안전공지’(8월8일), ‘일본 후쿠오카 제9호,제10호 태풍 북상관련 안전공지’(8월7일), ‘일본 태풍 나리 상륙 관련 안전공지’(7월26일) 등으로 이는 여행경보단계 조정이 아닌 자연재해에 대한 안전공지다.
한편 인천공항공사에 따르면 지난 7월 일본 출국자 수(인천공항 기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 증가한 112만1639명을 기록했다. 하지만 지난달 22일부터 일본행 여객기 탑승객 비율은 많게는 15%까지 하락하고 있어 국민들의 일본여행 보이콧이 현실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