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이 인수를 추진 중인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보행로봇에 강점이 있다. /사진=로이터
현대차그룹이 인수를 추진 중인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보행로봇에 강점이 있다. /사진=로이터
현대자동차그룹이 결국 미국 로봇전문업체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지분 80%를 인수하기로 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11일 로이터통신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그룹은 소프트뱅크와 지분 인수에 대해 합의했다. 인수 비율은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20% ▲현대차 30% ▲현대모비스 20% ▲현대글로비스 10%로 알려졌다.

앞서 현대차가 전날 보스턴 다이내믹스 인수건으로 이사회를 개최한 데 이어 현대모비스와 현대글로비스는 이날 이사회를 열고 인수건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사회를 통해 이번 인수 건이 최종 확정되면 정 회장 부임 후 첫 대규모 인수·합병(M&A)이 된다. 완전인수가 아닌 만큼 인수 금액도 당초 알려진 1조원대(10억달러)에 못 미치는 8000억~9000억원 수준으로 전해진다.

관련업계에서는 앞서 정의선 회장이 '로보틱스 사업'을 그룹의 차세대 동력원 중 하나로 꼽은 만큼 현대차그룹의 이번 인수는 성사 가능성을 높게 봤다.

정 회장은 지난해 10월 타운홀미팅에서 "현대차그룹 미래사업의 20%는 로보틱스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계열사를 통해 의료용 이족보행 로봇 등을 개발 중이며 상용화를 앞둔 것으로 평가받는다.


현대차가 로봇기술에 관심을 보인 건 그룹 내에서 활용도가 높아서다. 현대차그룹은 '종합 모빌리티 기업'으로의 변신을 선포했다. 자율주행과 로봇이 만나면 이동의 제약이 줄어 교통 약자도 쉽게 이용 가능한 '걸어다니는 택시' 등 신개념 이동수단이 생길 수 있으며 도로에서 문 앞까지 이어지는 라스트마일 물류 배송에도 활용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현대자동차가 일본 소프트뱅크로부터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업체 '보스턴 다이내믹스' 인수를 사실상 확정지었다. 사진은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보스턴 다이내믹스 인수 후 로봇을 소개하는 모습. /사진=로이터
현대자동차가 일본 소프트뱅크로부터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업체 '보스턴 다이내믹스' 인수를 사실상 확정지었다. 사진은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보스턴 다이내믹스 인수 후 로봇을 소개하는 모습. /사진=로이터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1990년대 초반 MIT(메사추세츠공과대학)에서 시작했고 2013년 구글 모기업 '알파벳'에 매각된 이후 2017년 소프트뱅크가 인수했다. 당시 매각규모는 약 1000억원 수준으로 알려졌지만 소프트뱅크는 해당 내용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보행로봇에 강점이 있다. 특히 동물의 움직임을 구현하는 기술력은 세계 최고수준으로 알려졌다. 다양한 환경에서도 넘어지지 않고 걸어다닐 수 있고 군수용 4족 보행 로봇 '빅 독'(BigDog)은 물론 사람을 닮은 한 로봇이 백덤블링(뒤로 회전하며 점프)을 여유롭게 성공하며 화제가 되기도 했다.

현대차는 지난해 미국 보스턴에 있는 ‘리얼타임 로보틱스’에 투자했고 이 회사는 협업로봇에 강점이 있다.

업계 관계자는 "당장 상용화에 근접한 기술을 보유한 회사가 많지 않다"며 "로보틱스를 미래 사업 구상의 한 축으로 삼은 현대차 입장에선 이번 인수가 기회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보스톤 다이내믹스와 현대차그룹은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