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준 LH 사장 /사진=장동규 기자
김현준 LH 사장 /사진=장동규 기자
정권 말 게이트급 비리로 확산돼 4·7 재보궐선거에서 여당의 참패를 불러온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3기신도시 불법투기 사태가 국세청장 출신 신임 수장에 의해 진정될 수 있을까.
LH 사장은 그동안 상위기관인 국토교통부 출신이나 정치인, 정부정책에 깊이 관여해온 학자 등이 주류를 이뤘다. 이 때문에 4월26일 취임한 김현준 신임 LH 사장(사진·53)은 국세청 조사국장과 국세청장을 역임한 신선한 외부 인사의 발탁으로서 주목받았다. 주택정책 비전문가라는 세간의 의문에도 LH의 뿌리 깊은 부패를 척결하고 조직 쇄신을 이루는 적임자가 될 것이란 기대를 모으고 있다.

다만 그가 저승사자가 될지 총알받이가 될지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시각 역시 존재한다. 정권 마지막 해에 조직 개편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적잖은 부담인 탓이다.


김 사장은 취임 이튿날인 4월27일 첫 공식 업무인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LH의 신도시 사업을 유지해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토지 조성과 주택 건설, 신도시 건설은 LH 본연의 업무이므로 LH가 수행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취임 사흘째인 4월28일엔 LH 직원들의 3기신도시 불법투기 사태가 촉발된 경기 광명·시흥지구를 방문해 “무주택자들이 3기신도시와 2·4 공급대책에 거는 기대가 큰 만큼 빠르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내년 초 대선 정국을 앞두고 사실상 단기 사장일 가능성이 높은 그가 조직 쇄신보다는 주택공급대책에 힘을 더 줄 수밖에 없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런 우려를 의식한 듯 김 사장은 취임사에서 “현재 상황의 엄중함을 인식하고 깊은 반성과 뼈를 깎는 노력으로 환골탈태하겠다”며 “내부 정보로 사적 이득을 취하는 행위를 엄단하고 내부통제를 강화해 부정부패를 척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LH는 학계와 시민단체 등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LH 혁신위원회’와 ‘LH 혁신추진단’을 설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