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자동차 회사들이 내연기관차 생산 중단 계획을 잇달아 선언하며 '전기차 전쟁'을 벌이고 있다. 국내에서도 전기차 시장이 확대되는 가운데 국내증시에서 전기차 충전 관련주에  투자자의 관심이 집중된다./사진=이미지투데이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이 내연기관차 생산 중단 계획을 잇달아 선언하며 '전기차 전쟁'을 벌이고 있다. 국내에서도 전기차 시장이 확대되는 가운데 국내증시에서 전기차 충전 관련주에 투자자의 관심이 집중된다./사진=이미지투데이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이 내연기관차 생산 중단 계획을 잇달아 선언하며 '전기차 전쟁'에 뛰어들고 있다. 국내에서도 전기차 시장이 확대되는 가운데 전기차 충전 관련주에 투자자들이 몰리고 있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닥시장에서 원익피앤이는 전 거래일 대비 1400원(4.28%) 오른 3만4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 회사의 주가는 지난달 26일부터 이날까지 전날을 제외한 6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원익피앤이는 2차전지 후공정에 필요한 장비를 생산하는 업체다. 자회사 피앤이시스템즈를 통해 전기차 충전기를 생산하며 수혜주로 떠올랐다. 연초 이후 수익률은 51.89%에 달한다. 같은 기간 코스닥 지수가 6.9% 오른 것을 고려하면 눈에 띄는 성과다. 

종속기업 피앤이시스템즈(지분 60%)는 원익피앤이의 충전 인프라 사업 부문을 담당한다. 2014년 피앤시솔루션으로부터 물적 분할해 설립된 피앤이시스템즈는 전기차 급·완속 충전기, ESS, 승용차용 배터리팩 등을 생산한다. 50kW부터 400kW까지의 전기차 급속충전기 제품과 7kW 급 완속 및 홈 충전기 제품 라인업을 보유 중이다. 2015년부터 꾸준히 해외 시장 진출을 추진했고 중남미·동남아시아·인도·일본 등 다양한 국가 및 주요 기업들과 업무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나승두 SK증권 연구원은 "피앤이시스템즈 전체 매출의 약 20% 정도는 일본 등 해외에서 발생하고 나머지 국내 매출의 대부분은 한국전력 등을 통해 발생한다"며 "국내 전기차 충전기 제조 업체 중 해외 판매 경험이 있는 기업은 극소수에 불과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피앤이시스템즈는 글로벌 전기차 충전인프라 시장 확대의 직접적인 수혜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평가했다. 

윌링스도 전 거래일 대비 3500원(16.28%) 오른 2만50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 전문업체 윌링스는 그리드위즈와 양방향 전기차 충전기 양산을 위한 기술협력과 관련 제조공정 구축을 추진해왔다. 윌링스는 마트 주차장에서 2~3시간 충전하는 전기차 충전기 모델을 연내 상용화할 계획이다. 

대유플러스(3.58%)도 새로운 성장동력인 전기차 충전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SK그룹에 인수되는 기업과 협업한다는 소식에 수혜주로 거론되고 있다. 휴맥스(3.87%)는 테슬라 전기차 충전 납품권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국내 급속충전 시장 70%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대영채비에 투자하고 있는점이 부각되면서 관련주로 부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