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9일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편파판정의 이유가 삼성이 동계종목에서 지원을 철수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사진은 지난달 5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사에서 발언하는 안 의원. /사진=뉴스1 |
안 의원은 9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중국이 할 일 없어 올림픽을 치르는 것이 아니다"며 "중화주의, 세계1등 강국을 올림픽을 통해서 보여주겠다는 것으로 편파 판정, 자국선수 봐주기로 메달을 따게 하는 건 이미 예정돼 있었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왜 이런 일이 일어났느냐. 핵심적인 이유로 삼성을 이야기를 하고 싶다"고 전했다.
안 의원은 "한국이 동계올림픽에서 메달 딴 대부분이 빙상종목, 쇼트트랙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삼성은 대한빙상연맹을 1997년부터 20년 동안 지원을 해 왔다. 삼성이 200~300억원 지원하면서 우리 선수들이 국제적인 수준에 올라올 수 있도록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삼성이) 국정농단 이후 스포츠에서 손을 뺐다. 그러면서 지난 4, 5년 동안에 한국 빙상계가 공백기를 맞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삼성이 영향을 미치던 국제빙상연맹과 IOCC에 대한 영향력이 떨어졌다"며 그 결과가 판파편정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안 의원은 "선수들에 대한 연맹 지원이 부족하니까 선수들 경기력도 저하됐고 (중국 감독)김선태와 같은 유능한 지도자들이 국내에서는 비전 없으니까 해외로 빠져나가게 됐다"고 말했다. 이는 삼성 그늘에서 누렸던 여러 잇점이 모두 사라지자 한국의 빙상강국 이미지가 쇠퇴됐다는 주장이다.
안 의원은 "편파판정도 갑자기 되는 게 아니라 중국이 올림픽을 준비하면서 수년 동안에 국제빙상연맹과 심판들을 꾸준히 관리한 결과가 이번에 나타난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국제스포츠외교는 안면 장사다. 나가보면 서로 '브라더, 시스터' 하는 등 웃기지도 않는데 우린 그걸 못했다"며 삼성의 지원 중단 이후 한국이 국제스포츠외교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는 발언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