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대중 전남도교육감이 취임 후 단행한 첫 정기인사가 뒷말<본보 7월 13일자-김대중 전남교육감 첫 인사, '비리혐의 좌천 인사' 요직 기용 논란>을 낳고 있다. 비리혐의로 좌천됐던 공무원을 인사업무를 총괄하는 요직인 총무과장에 전격 기용했기 때문이다. 김대중 교육감은 지난 13일<머니S>와 통화에서 "(잡음있는 분을 총무과장에 앉힌 배경에 대해) 능력있는 분들을 한다고 한 것이지요. 그래도 열심히 할 분을 했습니다"라고 일축했다. 인사 번복은 없다는 말로 들린다.
안방살림을 맡길 책임자를 간택할때 인사검증을 통해 더욱 신중한 판단을 내려야 했는데 아쉽다. 흔한 일례로 말하는 첫 단추는 중요하다.잘못 꿰어진 단추의 말로와 앞으로 펼쳐질 김대중호의 긴 항해를 생각해서다. 김 교육감 말처럼 '능력있고 열심히 일할 분'이면 비리혐의 등 오점을 안고 있어도 김대중교육감호의 중책 수행에 문제가 없는지 되묻고 싶다. 비리혐의자가 인사업무 총괄. 왠지 부조합의 극치를 보는 것 같다.
전남도교육연수원 총무부장에서 본청 총무과장으로 전보된 A씨는 직원 57명이 연루되며 전남교육청이 개청 이래 최대 비리로 불리는 롤스크린 관급공사 수주비리에 연루돼 징계를 받았다.김대중 교육감이 지난 선거기간 전 교육감 시절 청렴도 하락을 지속적으로 문제삼은 것과 비교하면 납득하기 어려운 인사다. 덧붙여 시설과장도 전문성이 결여된 행정직이 발탁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내부반발도 거세다. 전남교육청 공무원노조도 지난 13일 성명서를 내고 "전남도교육감 소속 일반직공무원 보직관리규정은 징계처분자는 하급지 전보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보직관리규정이 6급 이하 하위직에게만 해당이 되는 것인지 묻고 싶다"고 신임 총무과장을 겨냥하고 있다. 이처럼 일각의 우려를 독불장군식 밀어붙이기 행정으로 일관하는 일이 더이상 반복되지 않기를 바란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