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가 2000만명을 넘은 시점에서 전문가들은 앞으로 고위험군은 물론 감염취약시설에 방역망을 집중해야 한다는 정부의 의견에 공감했다.
정재훈 가천대학교 예방의학과 교수는 3일 통화에서 "국내 누적 확진자 수가 2000만명을 돌파한 것은 당연한 수순"이라며 "우리 국민 10명 중 4명이 감염됐지만 코로나19로 인한 치명률이 0.13%라는 점은 그동안의 방역성적이 좋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델타 변이까진 사회적 거리두기가 효과가 있었다면 그만큼 사회적 비용도 컸다"며 "앞으로 방역 정책은 거리두기 대신 고위험군과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이기일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확진자가 이틀 연속 11만명대를 넘어섰고 이날까지 누적 확진자는 전 국민 38.8%에 해당하는 2000만명을 넘어섰다"고 설명했다.
이어 "감염재생산지수는 7월 3주 1.54에서 지난주 1.29까지 감소했다"며 "확진자가 두 배씩 증가하는 현상은 주춤하고 있지만 아직 안심하기는 이르다"고 덧붙였다. 감염재생산지수는 확진자 1명이 다른 몇명에게 전파하는 규모를 수치화한 지표다. 보통 1 이상이면 확산세를 1 이하는 감소세를 가리킨다.
이 1총괄조정관은 "이제 우리에게는 경험과 데이터가 있다"며 "충분한 백신과 치료제, 의료대응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확진자가 많이 나오는 곳을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표적방역을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실상 사회적 거리두기는 없다는 정부의 기조를 재차 확인한 셈이다.
그러면서 "앞으로 백신과 치료제, 강화된 의료대응 체계를 바탕으로 국민이 일상생활을 계속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현재 보유 병상은 6210개로 확진자 15만명 발생까지 대응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방역 정책 거버넌스 구축에 대해선 "이날 중대본 회의부터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 자문위원장이 참여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