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가 일제강점기 시절 훼손된 덕수궁 흥덕전 권역에 대한 복원공사를 다음달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사진은 덕수궁 흥덕전 권역 옛 사진. /사진=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가 일제강점기 시절 훼손된 덕수궁 흥덕전 권역에 대한 복원공사를 다음달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사진은 덕수궁 흥덕전 권역 옛 사진. /사진=문화재청 제공

일제강점기에 훼손된 덕수궁 흥덕전 권역에 대한 복원공사가 다음달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28일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일제강점기에 훼손된 덕수궁 흥덕전 권역에 대한 복원공사를 11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밝혔다.


지난 1900년경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흥덕전은 덕수궁 동쪽에 있던 선원전 화재로 소실된 어진을 복원하기 위해 모인 각 지역의 어진을 이안하고 모사하는 이안청의 역할을 수행했다. 지난 1904년 효정왕후(헌종 계비)와 순명효황후(순종비), 지난 1911년 순헌황귀비(고종 후궁, 영친왕 친모)의 승하 때는 상여가 나갈 때까지 모시던 빈전으로 사용됐다. 고종이 승하한 지난 1919년 겨울 가장 먼저 훼철돼 창덕궁 행각 공사에 쓰이기도 했다.

정부는 지난 2011년 미국과의 토지 교환으로 선원전·흥덕전·흥복전 권역을 확보했다. 궁능유적본부는 지난 2013년부터 2016년까지 발굴조사를 진행했고 각종 사진과 문헌 등을 토대로 흥덕전과 전각 앞의 복도각, 이를 둘러싼 행각과 삼문, 별도의 담장으로 구획된 어재실 등 각종 건물의 배치 특성과 형태를 파악했다.

궁능유적본부는 오는 2027년까지 흥덕전 권역 복원을 마치면 대한제국기 왕실 제례의식 재현, 국장 관련 전시 개최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그역사성을 국내외 관람객들이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후 오는 2039년까지 선원전과 흥복전 권역에 대한 고증과 복원 정비를 마치면 대한제국기 정치 외교의 주 무대였던 덕수궁 궁역도 회복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