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호남통계청 제공.
/사진=호남통계청 제공.

최근 10년간 광주 소비자물가는 16.7%, 전남은 17.3% 각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파르게 치솟은 최근 2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0년간 전체 상승률을 끌어올렸다.


28일 호남통계청이 내놓은 '최근 10년간(2012년~2022년)광주·전남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2022년 광주 소비자물가지수는 107.78(2020=100)로 2012년 대비 16.7% 상승했다.

이는 전국 상승률(17.3%)보다 0.6%포인트 낮았고, 7개 특·광역시 중 ▲대구(18.8%)▲인천(17.9%)▲부산(17.3%)다음으로 네번째로 높았다.

10년간 연평균 상승률은 1.6%였지만, 코로나19와 국제적인 환경 변화 등으로 최근 2년간 상승률은 7.8%(2021년 2.6%, 2022년 5.1%)로 높게 나타났다.


체감물가를 반영하는 생활물가지수는 109.98(2020=100)로 2012년 대비 16.6% 상승해 전국 상승률(16.9%)보다 0.3%포인트 낮았다.

반면, 신선식품지수는 28.1% 상승해 전국 상승률(24.0%)을 웃돌았다.

지출목적별로 2021년 대비 ▲주류·담배(66.0%)▲식료품·비주류음료(31.1%)▲음식·숙박(29.5%)▲기타 상품·서비스(29.5%)▲의류·신발(19.0%)▲가정용품·가사서비스(18.9%)▲주택·수도·전기·연료(14.0%)▲교육(9.0%)▲오락·문화(7.4%)▲보건(7.0%)▲교통(2.2%)순으로 상승한 반면 통신(-5.5%)은 하락했다.

주요 부문별 물가로는 주택임차료(전·월세)의 경우 2012년에 비해 11.1% 상승했고▲택시료(36.0%)▲시외버스료(18.4%)▲시내버스료(12.5%)등 대중교통비도 모두 상승했다.

석유류에서는 경유는 2.1% 상승했으나▲휘발유(-8.6%)▲자동차용LPG(-3.6%)는 하락했다.

사교육비도 고공행진했다. 2012년에 비해 ▲중학생 학원비는 34.2%▲고등학생 29.9%▲초등학생 17.3% 각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호남통계청 제공.
/사진=호남통계청 제공.

지난해 전남 소비자물가지수는 108.43(2020=100)으로 2012년 대비 17.3% 상승해 전국 상승률과 동일했다.

10년간 연평균 상승률은 1.6%였고, 코로나19와 국제적인 환경 변화 등으로 최근 2년간 상승률은 8.4%(2021년 2.6%, 2022년 5.7%)로 높게 나타났다.

생활물가지수는 17.3% 상승했고, 신선식품지수는 26.3% 각각 상승했다.

지출목적별로 ▲주류 및 담배(61.0%)▲식료품 및 비주류음료(32.1%)▲기타 상품 서비스(30.9%)▲음식·숙박(28.1%)▲가정용품·가사서비스(18.5%)▲의류·신발(17.6%)▲주택·수도·전기·연료(15.5%)▲교육(8.0%)▲보건(5.7%)▲교통(5.3%)▲오락·문화(4.9%)순으로 상승했으나 통신(-5.3%)하락했다.

주요 부문별 물가로는 ▲주택임차료(전·월세)는 9.3% 상승했고▲택시료(36.1%)▲시내버스료(32.5%)▲시외버스료(18.5%)등 대중교통비 모두 크게 올랐다.

석유류는 경유는 2.4%▲자동차용LPG는 0.1% 각각 상승한 반면 휘발유는 8.2%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원비는 ▲중학생 29.3%▲초등학생 27.8%▲고등학생 24.9% 각각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