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과 보건복지부는 31일 응급환자가 응급실을 찾아 병원을 전전하다 숨지는 '응급실 뺑뺑이' 재발을 막기 위해 "병상이 없는 경우에는 강제적으로 경증 환자를 빼서라도 (응급환자) 배정을 확보하도록 의무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당·정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응급의료 긴급대책 당정협의회를 개최했다.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응급환자가 병상을 찾지 못해 이른바 뺑뺑이 돌다가 구급차에서 숨지는 안타까운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며 "지난달 5일 원스톱 환자 이송 시스템 구축, 의료진 근무 여건 개선을 포함한 응급의료 대책을 발표했고 정부가 현장 조사를 했는데도 상황 개선이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응급실 의사 부족이 어제 오늘 문제가 아니지만 해결이 안 되면 이 같은 비극이 반복될 것"이라며 "우리 대한민국 의료 고질병을 뜯어 고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정협의 직후 기자들과 만난 박 의장은 "컨트롤타워로 지역 응급 상황실을 설치해 환자 중증도, 병원별 가용자원 현황에 기초해 이송 전원을 지휘 관제하고 이를 통한 이송의 경우 수용을 의무화하도록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병상이 없는 경우 경증 환자를 빼서라도 배정을 확보하도록 의무화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또 응급의료 긴급대책으로 중경증 이원화, 정보관리 인력 확대, 비번 집도의 추가 수당 지급 등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