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이 11년 만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됐다.
7일 외교부는 "우리나라가 6일(현지시각) 뉴욕 유엔본부에서 실시된 유엔 안보리 이사국 선거에서 알제리·시에라리온·슬로베이나·가이아나와 함께 2024~2025년 임기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됐다"고 밝혔다. 1996~1997년과 2013~2014년 이후 이번이 세 번째 임기다.
이날 투표에는 193개 유엔 회원국 중 192개국이 참여했다. 우리나라는 총 유효투표 192표 중 180표의 지지를 얻어 아시아·태평양그룹 소속 이사국으로 당선됐다.
안보리는 5개의 상임이사국(미국·영국·프랑스·중국·러시아)과 10개 비상임이사국으로 구성된다. 비상임이사국의 임기는 2년으로 매년 5개국씩 교체한다. 비상임이사국은 거부권 행사를 제외하면 표결에서 상임이사국과 동등한 지위를 갖는다.
한국의 이번 비상임이사국 진출은 국제사회의 자유와 평화, 번영에 기여한다는 정부의 정책목표인 '글로벌 중추국가' 실현의 중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제 정세의 상호연결성이 강화된 상황에서 우리가 안보리의 주요 논의를 주도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정부는 안보리 내에서 ▲평화유지활동(PKO)·평화구축 ▲여성과 평화 안보 ▲사이버 안보 ▲기후변화 극복 등 논의를 주도해 나갈 계획이다
우리나라의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임기 개시는 내년 1월1일이다. 임기 개시 5개월 전인 오는 8월1일부터는 안보리 이사국 대상 문서 배포망에 포함된다. 오는 10월1일부터는 예비 이사국 자격으로 이사국 간 비공개회의·결의안·의장성명·문안협의 등 안보리의 모든 회의를 참관할 수 있다.
내년부터는 안보리가 회의를 소집하면 발언권을 얻을 수 있다. 정부는 안보리 의장국을 맡는 시점에는 북한 인권문제 등에 대한 안보리 회의를 소집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는 안보리 수임 활동에 대비해 7일 '안보리 TF'를 발족하기로 했다. 이후 TF를 중심으로 안보리의 주요 현안에 대응하고 의제별 논의 진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본부-주유엔대표부-각 공관 간 협업체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