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의원총회.(자료사진) (공동취재) 2023.9.26/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
(서울=뉴스1) 박종홍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30일 병립형·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등 선거제 개편을 두고 내부 논의 절차를 밟는다. 최근 이재명 대표의 '병립형 회귀' 시사 발언이 파장을 일으키고 있어 의원들이 벌일 설전이 주목된다.
30일 민주당에 따르면, 당 지도부와 원내지도부는 이날 의원총회를 열어 선거제 개편에 대한 소속 의원들의 의견을 청취할 예정이다. 당초 선거제 개편을 위한 의총은 전날 열릴 예정이었으나 '충분한 시간을 들여 논의한다'는 이유로 한 차례 연기됐다.
현재 국민의힘과 민주당은 지역구의 경우 1개 선거구에서 1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현행 소선거구제를 유지하고, 비례대표는 전국을 3개 권역(수도권·중부·남부)으로 나눠 국회의원을 선출하자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다만 비례대표 배분 방식을 현행 준연동형으로 할지, 과거 병립형으로 회귀할지를 두고는 여야의 상황이 다르다. 국민의힘은 '권역별 병립형'으로 의견을 모은 반면 민주당은 소속 의원들의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당내에선 내년 총선 승리를 위해 병립형이 유리하다는 현실론과 다당제 실현을 위해 준연동형을 유지해야 한다는 이상론이 맞붙고 있다. 준연동형은 병립형에 비해 이론적으로 지역구 기반이 약한 소수 정당에 유리하고 국민의힘과 민주당 등 양당에 불리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당내 선거제 개편 논의를 주도해 온 이탄희 의원을 비롯한 민주당 소속 의원 75명은 지난 28일 준연동형 유지를 전제로 위성정당 출현을 방지하자는 내용의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반면 이재명 대표는 최근 선거제 개편과 관련해 "멋있게 지면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 현실의 엄혹함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현실론을 내세웠다. 이 때문에 이 대표가 병립형 회귀를 시사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 대표가 지난 대선 후보 당시 연동형 비례대표제와 위성정당 금지를 공약했다는 점까지 연계되면서, 선거제 개편을 둘러싼 이견은 당내 계파 갈등 양상으로까지 번지는 모양새다.
비명계의 경우 이 대표가 국민과의 약속을 저버리고 퇴행의 길을 선택했다고 비판하는 반면, 친명계는 '게임의 룰'을 정하는 상황에서 국민의힘 입장도 무시하기 어렵다며 병립형 회귀도 열어놓고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당 원내지도부 관계자는 통화에서 "조금 더 많은 분들이 병립형이 맞다고 하는데 연동형을 주장하는 분도 많이 있다"며 "지금 분위기로는 표결하는 것은 아니라 (결론을 낼 수 있을지는)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