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서울에서 이뤄진 아파트 월세거래 10건 중 6건은 전용면적 60㎡ 이하의 소형 매물인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시스
지난 1월 서울에서 이뤄진 아파트 월세거래 10건 중 6건은 전용면적 60㎡ 이하의 소형 매물인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시스

올해 1월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에서 전용면적 60㎡ 이하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역대 최고에 달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지난해 전국을 강타한 조직적 전세사기와 주택시장 침체로 인한 보증금 미반환 사례가 늘며 전세보다 월세를 선호하는 현상이 심화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서울 내 이른바 '자취생'으로 불리는 1인 가구가 과반수에 이를 정도로 많아진 것도 하나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6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에 따르면 지난 1월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는 총 8221건이며 이 가운데 소형 아파트의 월세 거래량은 5241건으로 전체 거래의 63.8%를 차지했다.

이는 국토부가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1월 기준) 가장 높은 수치다.

아파트 월세 계약에서 소형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1월 55.2% ▲2021년 1월 55.4% ▲2022년 1월 57.2%로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중소형(60㎡ 초과~85㎡ 이하) 아파트 월세 거래량은 2188건으로 전체의 26.6%로 집계됐다. 이어▲중형(85㎡ 초과~102㎡ 이하) 170건 (2.1%) ▲중대형(102㎡ 초과~135㎡ 이하) 458건(5.6%) ▲대형(135㎡초과) 164건(2.0%) 순이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소형 아파트 월세 계약이 가장 많은 자치구는 송파구(425건)로 집계됐으며 ▲강서구(400건) ▲노원구(396건) ▲강동구(361건) ▲강남구(321건) ▲마포구(308건) ▲영등포구(274건) 등이 뒤를 이었다.

이밖에 아파트 월세 계약에서 소형 규모의 아파트 비중이 늘어난 데는 1인 가구 증가와 전셋값 상승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올 1월 서울시의 1인 가구는 198만9800여가구로 전체 가구(447만1000개)의 44.5%나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