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이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의 '범 의료계 협의체' 추진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박 위원장이 지난달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제일제당홀에서 열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긴급 심포지엄에서 발표를 듣고 있다. /사진=뉴시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이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의 '범 의료계 협의체' 추진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박 위원장이 지난달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제일제당홀에서 열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긴급 심포지엄에서 발표를 듣고 있다. /사진=뉴시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이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이 추진하는 '범의료계 협의체' 구성에 대해 협의한 바가 없다며 반발했다. 전공의들이 주체적으로 행동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히면서 새로운 의협 집행부의 '통합 행보'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박 위원장은 지난 1일 입장문을 통해 임 회장의 독단적 행동이 심히 우려된다고 전했다. 그는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에도 확인해봤지만 임 회장과 범의료계 협의체 구성에 대해 논의한 바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앞서 의협 회장직 인수위는 지난달 30일 정부와 일대일 대화를 위해 의협, 의학회, 의대 교수, 전공의, 의대생 등으로 구성된 범의료계 협의체를 구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박 위원장은 "전공의들은 지금까지 주체적으로 행동해왔고 앞으로도 자율적으로 의사 결정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대생들과도 함께 고민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의견을 존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위원장의 입장에 대해 다른 전공의들도 지지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류옥하다 대전성모병원 사직 전공의는 지난 1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전공의들의) '사직의 물결'은 아래로부터 시작된 전공의들의 자발적인 선택이었다"면서 "의협은 동료 전공의들과 후배 학생들을 대변할 수 없다"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

지난 1일 공식 취임한 임 회장은 2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의협 회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의사 회원들의 '의권'을 강조했다.

그는 "지금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가장 큰 이슈인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문제와 필수의료 패키지 폐기 문제 등을 비롯해 진료 현장에서 겪고 있는 각종 불합리한 정책들에 대해서는 하나하나 뜯어고쳐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반드시 정상 궤도에 올려놓겠다"며 의료개혁에 대한 강경 입장을 보였다.

지난 1일에는 자신의 SNS를 통해 전공의·의대생·의대교수·개원의·공보의·군의관·학부모·국민·환자 모두 언급하며 "얽힌 매듭을 잘 풀어나가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취임 소회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