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 시장에 가격이 비싼 선호 단지 쏠림 현상이 심화됐다. 정부의 대출 규제 완화 등과 맞물려 수요자들 사이에서 '더 오르기 전에 갈아타자'는 분위기가 형성되며 9억원 초과 고가 아파트 거래 비율이 전체 거래량의 절반을 넘어섰다.
17일 직방에 따르면 국토교통부의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올 상반기(1~6월) 서울 아파트는 총 2만3328건이 거래됐고 53.1%(1만2396건)가 9억원이 초과된 거래다. 이는 통계가 집계된 2006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은 저리 대출상품 출시와 금리인하 기대심리가 매수세를 자극하며 3월부터 거래량이 크게 늘었다. 이후 거래량이 계속 증가하며 9억원 초과 거래는 6월 한 달 동안 2976건으로 집계돼 전체 거래의 58.4%를 차지했다.
새 아파트 선호와 고급 주거지의 공급 희소성이 부각되며 선호도가 높은 지역과 단지에 쏠림 현상이 지속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올 상반기 9억원 초과 거래는 지난해 하반기(7~12월) 7964건 대비 55.7% 증가하며 가격대별 거래 구간 가운데서도 가장 많이 늘었다.
6억원 초과~9억원 이하는 37%, 3억원 초과~6억원 이하는 21.2% 증가했지만 3억원 이하 거래 비중은 15.3% 감소했다. 거래량이 늘며 거래 가격이 뛰었고 저가 거래가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각 자치구별 9억원 초과 비중은 ▲서초구 94.6% ▲용산구 94.4% ▲강남구 92.9% ▲성동구 89.7% ▲송파구 87.8%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15억원 초과 비중이 높은 자치구는 ▲서초구 79.6% ▲강남구 73.7% ▲용산구 67.5% ▲송파구 51.5%로 집계돼 강남 권역 위주로 고가아파트 거래가 많았다.
15억원 초과 거래가 많았던 단지는 서초구의 경우 ▲반포자이 59건 ▲래미안퍼스티지 46건 ▲아크로리버파크 43건 ▲래미안리더스원 37건 ▲반포리체 33건이며 모두 역세권에 대단지, 우수 학군을 갖춘 지역 내 대표 랜드마크 단지로 꼽힌다.
강남구는 ▲도곡렉슬 53건 ▲래미안블레스티지 44건 ▲개포래미안포레스트 38건 등의 순으로 거래가 많았다. 용산은 ▲한가람 44건 ▲강촌 17건 등 이촌동 내 정비사업이 진행 중인 단지 위주로 거래가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해당 단지는 뛰어난 한강 접근성과 이촌동이라는 입지 장점이 거래 가격을 높였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