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9일 우리금융그룹은 임종룡 회장 체제 아래 부당대출 사고 등 논란을 수습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이 원장이 임종룡 회장 임기와 관련해 공식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복현 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은행장 간담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금감원이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을) 그만두게 하려 한다는 시각이 있다는 걸 저희도 잘 알고 있다"며 "저는 우리금융에 파벌이 존재하고 내부통제가 틀어져 있는 상황에서 임 회장이 그만두면 거버넌스상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만큼 임기를 채우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금융 거버넌스가 흔들리지 않는 게 좋고 (회장이) 임기를 지키는 게 좋다고 생각하지만, 거꾸로 우리금융 회장과 우리은행장이 직을 걸고 조직의 체질개선을 위해 환골탈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천억 단위의 금융사고들이 뉴노멀이 될 정도로 퍼졌다는 점에서 금감원은 이 사안을 굉장히 심각하게 보고 있다"며 "부당대출 문제는 임종룡 회장이 직접 정리해야 한다"고 했다.
우리금융은 동양생명과 ABL생명 등 보험사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금감원의 경영실태평가 결과가 3등급 이하로 나온다면 인수에 빨간불이 켜진다.
이 원장은 "(일각에서 제기된) 임 회장과 사이가 좋아졌으니 아무렇게나 해도 된다는 얘기는 절대 아니다"라며 "경영실태평가와 자회사 편입 문제는 원칙대로 엄정하게 처리하겠다. 경영평가 등급이 좋게 나와도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외연 확장을 마음껏 하라고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날 이 원장은 20개 국내 은행장들을 만나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지배구조 선진화에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또 대형 금융사고가 되풀이되고 있다는 점에서 조직문화를 과감히 쇄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최근까지도 고위 경영진이 연루되는 등 대형 금융사고의 재발을 목도하면서 내부통제의 질적 개선이 매우 어렵다는 사실을 실감하고 있다"며 "조직문화를 과감히 쇄신하고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를 구현하는 한편, 빠른 기술 발전으로 점증하고 있는 IT리스크 관리에도 경영진이 앞장서달라"고 말했다.
아울러 "은행권의 적극적인 협조 덕분에 만기 연장·상환유예 등으로 서민 부담을 경감하고 1조40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을 지속해왔다"며 "자금중개자로서 은행권의 역할을 고려해 앞으로도 지역 중소기업·소상공인 등에 대한 자금공급이 차질 없이 이뤄지도록 하고 취약계층에 대한 채무조정 등 다른 지원 방안에 대해서도 소홀함이 없도록 신경 써달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