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금융업권 대출에 따른 연체 규모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 들어 또 한번 최고 수준을 갱신해 금융당국의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4일 국회 강민국(국민의힘·경남 진주시을) 의원이 금융감독원에게 받은 '국내 금융업권별 대출 및 연체 규모'에 따르면 올해 1월말 대출 규모는 2598조8000억원(4073만6000건)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1년말 2346조3000억원 ▲2022년말 2469조8000억원 ▲2023년말 2499조7000억원 ▲2024년말 2609조2000억원이다.
올해 들어 은행 대출 규모는 소폭 감소한 반면 대출에 따른 연체 규모는 오히려 증가했다. 금융업권 전체 대출 연체 규모는 2021년말 7조8000억원 ▲2022년말 10조5000억원 ▲2023년말 16조9000억원 ▲2024년말 20조6000억원 ▲올해 1월말 23조8000억원이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은행업권 연체 규모는 올해 1월말 현재 12조7000억원으로 2024년말 10조6000억원 대비 19.8% 증가했다. 기업 연체는 8조5000억원, 가계 연체는 4조2000억원이다.
저축은행업권의 연체 규모는 9조1000억원으로 2024년말 8조3000억원 대비 9.6% 증가했다. 기업 연체는 6조9000억원, 가계 연체는 2 조1000억원이다.
생명보험업권 연체 규모는 5000억원으로 2024년말 4000억원 대비 25% 증가, 전업 카드사 연체 규모는 1조5000억으로 지난해 말 1조3000억원과 비교해 15.4% 늘었다.
강민국 의원은 "올해 들어 금융업권 대출 연체 규모가 가계, 기업 할 것 없이 줄지 않고 상승하며 최고치를 갱신하고 있다"며 "향후 대내외 불확실성 및 내수 경기 회복 지연 등으로 연체율이 지속 상승할 가능성이 있어 금융 당국의 적극 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