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정부를 빼고 추경과 연금개혁 등을 논의하기 위해 6일 협의회를 실시한다. 사진은 (왼쪽부터)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우원식 국회의장,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지난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의장 주재 여·야 원내대표 회동에 참석한 모습. /사진=뉴스1(공동취재)
여·야가 정부를 빼고 추경과 연금개혁 등을 논의하기 위해 6일 협의회를 실시한다. 사진은 (왼쪽부터)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우원식 국회의장,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지난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의장 주재 여·야 원내대표 회동에 참석한 모습. /사진=뉴스1(공동취재)

여·야가 추경과 연금 개혁 등을 논의하기 위해 6일 협의회를 진행한다.

6일 뉴시스에 따르면 박형수 국민의힘·박성준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지난 4일 우원식 국회의장 주재로 열린 양당 원내대표 회동 이후 기자들과 만나 6일 정부를 빼고 여·야 협의회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이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 보류를 문제 삼고 '여·야·정 협의회' 불참을 선언하자 우선 정부를 제외하고 여·야 협의회를 진행하기로 했다.


박형수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는 "국회의장이 여·야·정 협의회가 무산된 부분에 있어 '다시 가동해야 하지 않겠냐'고 말씀하셔서 '민주당을 설득해서 들어오도록 하라'는 것이 저희의 기본 입장"이라며 "그런데 민주당에선 여전히 최 대행이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으면 함께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의장은 '그렇다고 해서 민생을 다 팽개쳐놓을 수 없지 않겠냐'고 해서 국민의힘도 일단 여·야가 만나서 협의해보자고 했다"고 설명했다.

박성준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여·야 국정협의회와 관련해 최 대행이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헌법재판소 결정을 수용하지 않는 모습이 헌법을 무시하는 모습이기 때문에 최 대행과 같이 협상 테이블에 앉는 것이 맞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실질적으로 민생·개혁 부분은 계속 추진해야 해서 여·야가 (국회)의장과 함께 여·야 협의회를 신속하게 개최하자는 데에 합의했다"며 "정부는 빠지게 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협의회 의제는 반도체특별법 주 52시간 근로 예외 적용 조항 포함 여부와 연금 개혁, 추가경정예산안(추경) 등이 될 것으로 보인다.